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고령자 행위 기반 주택개조 매뉴얼

서명/저자사항
고령자 행위 기반 주택개조 매뉴얼 / 권오정 [외] 연구책임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2019
형태사항
217 p. : 삽화 ; 21 x 30 cm
ISBN
9791156103080
주기사항
참고문헌수록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창의도전연구(사회이슈해결형) 개발 사업의 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069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069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고령자의 주거지원을 위한 능동적인 대처방안 매뉴얼

우리나라는 2019년 현재 고령 국가(Aged Society)이다. 예측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2025년에는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에 이르는 초고령 국가(Super-Aged Society)가 되어 1천만 노인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이제 사회적 차원에서 인구고령화를 받아들이고 고령화 사회에서 국민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능동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고령자 거주주택을 안전하고 자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주택개조(Home Modification)는 이제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는 고령자 주거지원 방안이다. 대다수의 고령자는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자신의 집에서 살기를 원한다. 이는 이미 다년간 관련 연구들을 통해 밝혀진 바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2017년 주거실태조사에서도 노인가구 과반수 이상이 주택개조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사실 노화에 대응한 주택개조가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2000년대 초반부터 강조해왔고 본 저자도 그 당시부터 노인가구 주택개조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주택개조 매뉴얼을 개발해왔으나 그 당시에는 고령자 주거지원방안으로 공공임대주택 건설공급과 주택개조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주택개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제도나 대책으로 이어지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이제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의 진입이 임박하고 특히 노인 1-2인가구가 급증하는 현 상황에서, 사회적으로는 고령자 부양부담을 경감시키고 기존의 주택재고를 활용하는 측면 그리고 고령자 개개인에게는 나이가 들어도 살던 집에서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측면에서 주택개조를 통한 노화대응 공간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주거복지 정책과제로 다시금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매뉴얼은 2015년부터 3년에 걸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을 통해 수행한 연구과제의 결과물이다. 본 매뉴얼은 이전의 고령자 대상 주택개조 매뉴얼과는 달리 고령자의 생활행위분석에 핵심을 두고 있다.
목차

1부 매뉴얼 소개
1. 고령자를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
1) 고령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주거 특성
2) 고령자의 Aging in place 및 주택개조 요구
2. 고령자 행위 기반 주택개조 매뉴얼의 이해
1) 기존 고령자 주택개조 매뉴얼 분석
2) 본 매뉴얼의 개발 과정
3) 본 매뉴얼의 특징

2부 고령자 행위별 주택개조 매뉴얼
1. 용변 행위
2. 목욕 행위
3. 세면 행위
4. 식사 행위
5. 취침 행위
6. 세탁 행위
7. 옷 갈아입기 행위
8. 외출 행위

3부 고령자 주택개조 요소 종합
1. 고령자 유형별 주택개조 전후 예시
2. 행위 기반 고령자 유형별 주택개조 요소
1) 고령자 행위별 주택 내 생활상의 문제, 문제발생요인, 주택개조 요소 도출
2) 주택개조 요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