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네덜란드 치유농업 총서
- 서명/저자사항
- 한국·네덜란드 치유농업 총서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
- 단체저자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사항
- 서울 : 진한엠앤비, 2021
- 형태사항
- 140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 ISBN
- 9791129021298
- 주기사항
- 집필인: 정순진, Jan Hassink, 김경미, 유은하, 장윤아, 이상미, 박동금 참고문헌 수록: p. [140]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171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5171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Ⅰ. 치유농업의 이해
Part 1. 치유농업과 치유농장
- 치유농업의 개념
- 치유농장이란
- 치유농장의 역사
- 농업과 치유의 관계
Part 2. 왜 치유농업인가
- 치유농업의 혜택
- 치유농업의 핵심가치
Part 3. 한국의 치유농업
- 치유농업에 대한 관심
- 치유농장 사례
Ⅱ. 치유농업 지원체계
Part 1. 치유농업 네트워크
- 국가별 치유농업 네트워크
- 네덜란드의 치유농업 네트워크
- 치유농업 지역단위 네트워크
Part 2. 치유농업 정책 및 전략
- 국가별 치유농업 관련 정책 및 전략
- 네덜란드 치유농업 정책 및 전략
Ⅲ. 치유농업 진행 과정과 평가
Part 1. 치유농업 제공과 평가
- 치유농업 준비과정
- 관계 형성과 의사소통
- 진행사항 관찰과 성과 평가
Part 2.치유농업 연구현황
- 치유농업 효과 연구
- 치유농업 품질 연구
Ⅳ. 치유농업 전문 인력
Part 1. 치유농장 관리자와 파트너
- 치유농장 관리자
- 치유농장 관리자의 역량
- 치유농장의 다양한 전문인력
Part 2. 치유농업 인력 관리
-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체계
- 치유농업 교육 훈련 프로그램
- 치유농업 종사자 훈련 프로그램
- 치유농업 전문인력 관리
Ⅴ. 치유농업 비즈니스 현황 및 운영체계
Part 1. 치유농업 비즈니스 : 치유농장
- 치유농장 현황
- 치유농장 사례
- 치유농장 성공요소
Part 2. 치유농업 지원체계 : 치유농장
- 서비스 계약 및 지원
- 고객 지원 체계
- 건강과 안전
- 불만해결
- 외부접촉 형성하기
Ⅵ. 치유농장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Part 1. 치유농업 계획 수립
- 치유농업 시작하기
- 가능성의 탐색
- 치유농업 적절성 판단
- 구체적인 사항 다루기
- 사업 운영계획 수립
- 치유농업 제공
- 치유농업 대상집단 선정
- 치유농업 제공요소 확인
Part 2. 치유농장 및 활동의 구성
- 치유농장 구성하기
- 참가자 지도
- 치유농장 활동 구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