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한국·네덜란드 치유농업 총서

서명/저자사항
한국·네덜란드 치유농업 총서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
발행사항
서울 : 진한엠앤비, 2021
형태사항
140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29021298
주기사항
집필인: 정순진, Jan Hassink, 김경미, 유은하, 장윤아, 이상미, 박동금 참고문헌 수록: p. [14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171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171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치유농업(Agro-healing)’은 2013년 농촌진흥청에서 ㈜케이엠플러스컨설팅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전문가들과 협의하여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이다. 1980년대부터 원예와 산림(식물), 동물, 음식(식품), 농작업, 환경과 문화의 치유적 기능을 활용하면서 각각 발전해왔으나 이들 자원이 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농업의 치유적 기능’이라는 큰 틀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자는 의미가 있다. 네덜란드를 비롯한 유럽에서는 ‘Green care’로 통용되는 경향이며, 농업기반을 강조하기 위한 ‘Care farming’을 네덜란드, 영국 등 유럽에서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국가에 따라서는 사회적 농업(Social Farm)으로 쓰기도 하며, 나라마다 다르게 쓰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정의한 ‘Agro-healing’으로 치유농업을 표기해야 적절하겠으나, 네덜란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존중하여 ‘Care farming’을 치유농업으로 혼용 또는 병기해서 사용하였다. 또 ‘치유농장’은 ‘Care farm’으로 표기 하였다. 이 책에서 ‘치료와 치유’는 혼동이 될 때가 많은데, ‘치료’는 특정한 표기(Cure, Treatment 등)가 없는 한 ‘therapy 또는 therapeutic care’를, ‘원예치료, 동물매개치료’ 등도 같은 의미로 원어 표현을 살려서 표기하였으며, ‘치유’는 ‘care’를 의미한다.
목차

Ⅰ. 치유농업의 이해

Part 1. 치유농업과 치유농장
- 치유농업의 개념
- 치유농장이란
- 치유농장의 역사
- 농업과 치유의 관계

Part 2. 왜 치유농업인가
- 치유농업의 혜택
- 치유농업의 핵심가치

Part 3. 한국의 치유농업
- 치유농업에 대한 관심
- 치유농장 사례

Ⅱ. 치유농업 지원체계

Part 1. 치유농업 네트워크
- 국가별 치유농업 네트워크
- 네덜란드의 치유농업 네트워크
- 치유농업 지역단위 네트워크

Part 2. 치유농업 정책 및 전략
- 국가별 치유농업 관련 정책 및 전략
- 네덜란드 치유농업 정책 및 전략

Ⅲ. 치유농업 진행 과정과 평가

Part 1. 치유농업 제공과 평가
- 치유농업 준비과정
- 관계 형성과 의사소통
- 진행사항 관찰과 성과 평가

Part 2.치유농업 연구현황
- 치유농업 효과 연구
- 치유농업 품질 연구

Ⅳ. 치유농업 전문 인력

Part 1. 치유농장 관리자와 파트너
- 치유농장 관리자
- 치유농장 관리자의 역량
- 치유농장의 다양한 전문인력

Part 2. 치유농업 인력 관리
-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체계
- 치유농업 교육 훈련 프로그램
- 치유농업 종사자 훈련 프로그램
- 치유농업 전문인력 관리

Ⅴ. 치유농업 비즈니스 현황 및 운영체계

Part 1. 치유농업 비즈니스 : 치유농장
- 치유농장 현황
- 치유농장 사례
- 치유농장 성공요소

Part 2. 치유농업 지원체계 : 치유농장
- 서비스 계약 및 지원
- 고객 지원 체계
- 건강과 안전
- 불만해결
- 외부접촉 형성하기

Ⅵ. 치유농장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Part 1. 치유농업 계획 수립
- 치유농업 시작하기
- 가능성의 탐색
- 치유농업 적절성 판단
- 구체적인 사항 다루기
- 사업 운영계획 수립
- 치유농업 제공
- 치유농업 대상집단 선정
- 치유농업 제공요소 확인

Part 2. 치유농장 및 활동의 구성
- 치유농장 구성하기
- 참가자 지도
- 치유농장 활동 구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