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10-30-1

저출산 원인과 파급효과 및 정책방안

Policy Direction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서명/저자사항
저출산 원인과 파급효과 및 정책방안 / 이삼식, 정경희, 외
대등서명
Policy Direction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개인저자
이삼식 | 정경희
발행사항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형태사항
717p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0-30-1
ISBN
9788981876999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37896대출가능-
자료실EM03789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378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3789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1부 서론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 내용

제2장 한국 인구정책의 변천
제1장 배경
제2장 출산조절정책
제3장 이주정책

2부 저출산 원인과 정책과제

제3장 생애주기 변화와 출산수준간의 상관성과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결혼ㆍ출산관련 생애과정 변화
제4절 생애과정간 연계성과 출산수준
제5절 향후 정책과제

제4장 결혼행태 변화와 출산율간의 상관성과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혼인 및 이혼추이
제4절 유배우상태 보정 합계출산율
제5절 결혼의향 및 기혼부인의 출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6절 향후 정책과제

제5장 의식 변화와 출산율간의 상관성과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틀
제3절 가치관 변화와 출산 간의 관계
제4절 향후 정책과제

제6장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자녀가치와 출산율간 관계 및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이론적 고찰 및 분석틀
제3절 한국의 저출산과 평균수명
제4절 평균수명과 출산율간의 인과관계 분석
제5절 평균수명과 자녀가치
제6절 향후 정책과제

제7장 자녀 양육비용과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틀
제3절 자녀양육비용 추계
제4절 향후 정책과제

제8장 불임 실태와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불임부부 지원사업 성과
제4절 불임부부 지원사업에 대한 수요자의 평가
제5절 향후 정책과제

제9장 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인공임신중절의 법적 제재
제4절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실태
제5절 미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실태
제6절 향후 정책과제

제10장 입양 실태와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입양 실태
제3절 일반국민의 입양에 대한 인식 및 욕구
제4절 입양기관 실무자의 입양에 대한 인식 및 욕구
제5절 입양가족의 입양에 대한 인식 및 욕구
제6절 향후 정책과제

3부 베이비붐세대(신노년층)의 특성 및 욕구와 정책과제

제11장 베이비붐세대의 제특성과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조사 개요
제3절 가족 및 사회관게
제4절 건강상태
제5절 경제상태 및 소비유형
제6절 경제활동 실태
제7절 사회참여 실태
제8절 가치관 및 정책인지도ㆍ욕구
제9절 향후 정책과제

제12장 신노년층의 일과 여가에 대한 욕구와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신노년층 일자리의 일반적 특성
제3절 중령자와 신노년층의 노동지속의사 결정요인
제4절 신노년층의 여가활동 경향
제5절 신노년층의 여가생활 만족도 영향요인
제6절 베이비부머의 일과 여가에 대한 욕구
제7절 향후 정책과제

제13장 신노년층의 건강실태 및 장기요양 이용욕구와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신노년층의 건강형성에 미친 사회환경적 변화
제3절 신노년층의 건강상태
제4절 신노년층의 장기요양 욕구
제5절 향후 정책과제

4부 저출산ㆍ고령화의 파급효과와 정책과제

제14장 저출산의 거시경제적 효과와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자료 및 분석모형
제4절 향후 정책과제

제15장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른 사회보험 개편방안
제1절 배경
제2절 국민연금 등 소득보장제도 보완
제3절 건강보험제도 개편방향
제4절 고용보험제도의 개편방안
제5절 산재보험제도의 개편방안
제6절 장기요양보험 개편방안

제16장 저출산ㆍ고령화시대 노동력 부족과 인력활용 방안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은퇴자의 노동참여 의사
제4절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변화
제5절 비취업 기혼여성의 취업욕구
제6절 비취업 여성의 취업과 정규직 진입
제7절 은퇴자의 노동참여 의사
제8절 향후 정책과제

제17장 저출산ㆍ고령화의 가족 및 개인적 영향과 정책과제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저출산ㆍ고령화와 가족형태의 일반적 변화
제4절 저출산ㆍ고령화와 출산경험의 변화
제5절 소득 및 소비측면에서의 삶의 질 변화
제6절 시간사용측면에서의 삶의 질 변화
제7절 향후 정책과제

5부 저출산ㆍ고령화 대응 평가 및 정보체계 구축

제18장 저출산 대책 평가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저출산정책 추진 현황
제4절 저출산정책의 효과성 분석
제5절 향후 정책과제

제19장 저출산ㆍ고령화 정보관리체계 구축 방안
제1절 배경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저출산ㆍ고령사회 정보서비스 현황 및 수요
제4절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정보모형 분석
제5절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정보관리모형 개발
제6절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정보관리체계 구축
제7절 향후 정책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