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7750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77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방법
Ⅱ. 국제사회의 공적개발원조 패러다임 변화
1. 공적개발원조와 새천년개발목표
가. 새천년개발목표와 빈곤퇴치
나. 원조체계와 새천년개발목표의 연계성
2. 공적개발원조에 양성평등 관점의 통합
가. 개발과 성 주류화
나. 새천년개발목표와 양성평등
3. 소결
Ⅲ. OECD/DAC 원조효과성 제고와 양성평등
1. 파리선언/아크라행동강령과 양성평등
가. 파리선언과 아크라행동강령
나. 양성평등과의 연계지점
2. OECD/DAC의 주요 원칙과 지침
3. OECD/DAC의 양성평등 인프라
가. 양성평등네트워크(GENDERNET)
나. 동료검토와 양성평등
다. 개발센터의 양성평등 관련 정보
4. OECD/DAC 회원국의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지원 현황
5. 소결
Ⅳ. 한국 공적개발원조와 양성평등 증진
1. 한국 공적개발원조 정책 기조와 추진체계
가. 정책방향
나. 추진체계
다. 원조 규모
2.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주요 쟁점과 내용
가. 양성평등관련 원조 규모
나. 양성평등 성과관리
다. 공적개발원조와 시민사회
3. 소결
Ⅴ. 원조효과성 제고와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해외사례
1. 스웨덴의 공적개발원조와 양성평등 증진방안
가. 공적개발원조정책의 발전과정과 현황
나.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주요 쟁점과 내용
2. 일본의 공적개발원조와 양성평등 증진방안
가. 공적개발원조정책의 발전과정과 현황
나.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주요 쟁점과 내용
3. 소결
Ⅵ.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1.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실천과제
가. 원조효과성과 양성평등 및 여성의 역량 강화를 위한 DAC 기본원칙과 실천과제
나. 원조효과성과 양성평등 및 여성의 역량 강화를 위한 DAC 기본원칙과 실천과제 체크리스트
2. 성 인지적 관점을 통합한 공적개발원조정책
가. 성 인지적 관점의 국가지원전략 수립
나. 양성평등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다. 전문인력 양성 및 홍보활동 강화
라.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젠더 거버넌스 구축
■ 참고문헌
■ 부록
〈부록 1〉양성평등네트워크의 '실행노트'내용
〈부록 2〉'실행 노트'에 포함된 호주의 농업분야 사례
〈부록 3〉한국의 공적개발원조 공여 실적(순지출 기준)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