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연구보고서 2010-10

(2010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심층분석보고서

서명/저자사항
(2010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심층분석보고서 / 이택면; 주재선; 김승연; 강석훈; 민현주 공저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형태사항
330p. ; 25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0-10
ISBN
978898491391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3775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3775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의의와 차별성
나. 여성가족패널조사의 목적과 기대 효과
다. 2010년 조사연구의 목적과 기대 효과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2006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내용
나. 200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내용
다. 2008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내용
라. 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보고서의 주요연구내용
마. 2010년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주요연구내용
바. 연구 방법

II. 여성가족패널조사 2010년도 연구 추진 현황
1. 2010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주요 연구일지
가. 주요 연구 내용
나. 주요 연구의 진행 과정

III. 여성가족패널 3차년도 조사 개관
1. 조사 일정
2. 추적 원칙 및 조사 대상
가. 추적원칙
나. 조사대상
3. 조사 방법
4. 원표본 유지율
5. 3차년도 조사 설문지 수정

IV. 여성가족패널 1ㆍ2차년도 가중치 부여
1. 전체작업 개요
2. 사후층화 자료의 정비
가. A의 추정
나. B의 추정
다. C의 추정
라. D의 추정
마. E의 추정
바. F의 추정
3. 1차년도 가중치 재작업
4. 2차년도 가중치 작업
가. 2차 년도 종단면기록개인가중치
나. 2차 년도 종단면응답개인가중치
다. 2차 년도 횡단면기록개인가중치
라. 2차 년도 횡단면응답개인가중치
마. 2차 년도 횡단면가구가중치
5. 최종결과의 수록

V. 가구와 개인의 변화에 관한 기초분석(2007~2008)
1. 가구
가. 가구 및 가구원
나. 가구주의 특성
다. 가구의 이사 및 주거 현황
라. 가구소득 및 소비
마. 자산과 부채
바. 현재 경제상태
2. 여성 개인 응답자의 변화와 특징
가. 결혼 경험 및 의향
나. 결혼과 부부생활
다. 가사노동
라. 일시적 비동거, 별거, 이혼
마. 출산과 자녀계획 및 자녀교육
바. 성인 자녀와의 관계
사. 부모님과의 관계
아. 가족관련 가치관
자. 결혼 및 부부 관련 인식
차. 개인 걱정/건강/여가
카. 노후생활
3. 여성과 일
가. 현재의 경제활동
나. 현재 가지고 있는 일자리
다. 일 만족도
라. 구직자의 희망 일자리
마. 일가정 양립 및 직장내 성차별

VI. Data Quality에 관한 연구 I : 여성가족패널 조사결과에 대한 오차 분석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가. 가구 및 가구주 분석
나. 여성 개인 분석

VII. Data Quality에 관란 연구 II : 여성가족패널조사 2차년도 무응답 가구의 특성
1. 서론
2. 여성가족패널조사 2차조사의 패널 유지율(가구 기준)
3. 무응답가구와 응답가구의 차이
4. 이항 로지스틱 모형을 통한 무응답 확률 추정
5. 소결

VIII. 심층분석 I :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여성의 일자리연속성에 관한 사건사 분석
1. 문제제기
2. 자료 및 분석방법
가. 자료특성
나. 분석방법론
3. 결과분석
가. 비모수적 기술적 분석(Nonparametric Descriptive Methods)
나. 시간연속적 사건사 분석(Time-continuous Event History Analysis)
4. 소결

IX. 심층분석 II : 미취학 아동과 여성 경제활동 - 다층모형을 이용한 지방정부의 공공지출 효과 추정
1. 문제제기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리뷰
가. 재정지출과 지역 고용
나. 개인의 취업확률 결정요인
다. 여성의 노동공급
라. 보육관련 공공지출과 여성의 노동공급
4. 분석모형과 가설
가. 1층 모형
5. 자료와 변수
6. 분석 결과
가. 무조건 모형
나. 조건모형
7. 맺는말

X. 호주여성건강패널(ALSWH)과의 교류협력 가능성 탐색
1. 호주 출장 개요
2. 주요 논의사항
가. 호주여성보건패널(ALSWH)의 특징과 비교가능 데이터 셋 구축 방안
나. KLoWF와 ALSWH간의 교류협력 논의
다. 발표자료

XI. 향후 일정
1. 2011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연구사업 계획
2. 2011년 이후 연구사업계획

참고문헌

부록
1. 직업력, 출산력 히스토리 데이터 구축과정 안내
2. 패널 포럼 발표원고
3. 호주 여성, 건강, 고령화연구센터 발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