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역량 강화(2차년도): 시군구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산출
- 서명/저자사항
-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역량 강화(2차년도): 시군구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산출 / 신호성, 이수형, 김동진, 고숙자, 서성우 공저
- 단체저자
- 인하대학교 산하협력단 협력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협력
- 발행사항
-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371 p : 삽도 ; 24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11-02-57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1-25-01 기후변화녹색성장 종합연구 협동연구 11-01
- ISBN
- 9788981878504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3940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3940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94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394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틀
제4절 연구방법
제2장 기상요소
제1절 기상요소 취약성 지표 선정
제2절 기상요소 취약성 지표의 지역적 분포
제3장 특정건강영향
제1절 지표선정을 위한 선행연구
제2절 특정건강영향 취약성 지표 선정
제3절 특정건강영향 취약성 지표의 지역적 분포
제4장 환경영향
제1절 취약성 평가모형 중 환경요소
제2절 지표선정을 위한 선행연구
제3절 환경영향 취약성 지표 선정
제4절 환경영향 취약성 지표의 지역적 분포
제5장 취약계층
제1절 취약계층 지표 선정 방향
제2절 취약계층 지표 선정을 위한 선행연구
제3절 취약계층 취약성 지표 선정
제4절 취약계층 지표의 지역적 분포
제6장 사회여건
제1절 사회여건으로써의 질병의 사회적 결정요인
제2절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이론
제3절 사회여건 취약성 지표 선정
제4절 사회여건 지표의 지역적 분포
제7장 보건의료체계
제1절 보건의료체계 지표 선정 방향
제2절 지표선정을 위한 선행연구
제3절 보건의료체계 취약성 지표 선정
제4절 보건의료체계 지표의 지역적 분포
제8장 기후변화 취약성 복합지표
제1절 복합지표 개발의 필요조건
제2절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분포
제3절 기후변화 취약성 요인 분해
제9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산정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통합지표
부록 2.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값
부록 3. AHP 조사결과
부록 4. BAP 조사결과
부록 4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