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화의 문제점 100가지
- 서명/저자사항
- 세계화의 문제점 100가지 / 마르크 몽투세 외 지음 ; 박수현 옮김
- 개인저자
- Montousse, Marc | 박수현 역
- 발행사항
- 서울 : 모티브북, 2007.
- 형태사항
- 439 p. ; 23 cm.
- ISBN
- 9788991195172
- 주기사항
- 찾아보기(p. 431-439) 수록
- 원서명
- 100 fiches pour comprendre la mondialisation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151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151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997년 우리는 IMF 경제 위기를 겪었다. 이때 IMF와 세계은행은 채무 변제 일정을 조정해주는 조건으로 우리에게 긴축 재정?통화 정책과 함께 구조 조정 정책을 강제하였다. 즉 우리는 가격 자유화, 공기업 민영화, 공무원 감축, 국가 개입 축소, 자유 무역 촉진 등 경제 자유화에 필요한 개혁을 이행해야 했고, 그 결과 경제 성장이 둔화되어 빈곤과 실업이 증가하고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었다.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으로 국내 생산자들은 도산했고, 핫머니의 유출과 유입으로 금융 불안정성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IMF 전문가들이 우리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성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구식 자본주의 모델을 강제한 결과였다. 또한 빈곤과 불평등 퇴치를 위한 프로그램 적용과 국가 생산 시스템 및 전문화 변화를 촉진하는 적절한 전략을 적용하지 못한 정부의 무능력 탓이기도 했다.
현대 세계 경제의 핵심 주체인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은행은 구사회주의권의 국가들과 개발도상국에 채무 변제 일정 연기의 혜택을 베풀거나 개발 원조를 지원하면서 그 나라의 현실을 무시한 채 미국식 시장 경제 모델을 강제하고 있다(서유럽 사회에서조차 시장 경제 모델이 제대로 작동하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렸다). 이에 대해 전 세계은행 수석 경제학자이며 2001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IMF가 강제하는 긴축 정책은 세계은행이 참여하는 투자 프로젝트의 성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미국 경제학자 앨런 멜처는 2000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세계은행 자금 지원 프로젝트의 65~75%가 실패로 끝났다고 비판했으며, 대안 세계화 운동 진영은 두 기구의 개혁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세계화 시대를 살고 있고, 좋든 싫든 세계화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한미 FTA가 겨우 1년 반 만에 협상, 체결, 재협상을 거쳐 9월 정기국회에서의 비준을 기다리고 있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신자유주의식 세계화를 수동적으로 따르기보다는 능동적으로 세계화의 역사를 배우고,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그 전개 형태와 구조를 파악하여 우리의 특수성을 고려한 세계화의 길을 가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프랑스 출신 저자의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세계화에 대한 총론을 제공하는 이 책은 아주 유용하다. 세계화의 모든 면을 간략하면서도 핵심적으로 정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100가지 주제를 간략하게 종합하여 소개하면서 정치, 경제, 역사, 문화, 사회, 지리, 전략 등 그야말로 다양한 각도에서 세계화를 다루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세계화에 관심이 있고 세계화의 현재와 미래를 파악하고 준비하려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목차
이 책은
제1장 국제 무역 흐름의 추이 : 19세기~현재
1. 1939년까지의 국제 무역/2. 1945년 이후 국제 무역의 변화/3. 1945년까지의 이민자 이동 추이/4. 1945년 이후 이민자 이동/5. 1945년까지의 상품 교역/6. 1945년 이후 상품 교역/7. 서비스 교역/8. 1945년까지의 자본 이동/9. 1945년 이후 해외 직접 투자/10. 유동 자본과 포트폴리오 투자
제2장 무역 자유화와 제도화 : 19세기~현재
11. 무역 정책/12. 보호 무역주의의 방식/13. 19세기의 자유 무역과 보호 무역주의/14. 무역 정책(1900~1939)/15. 1940년대 말 이후 무역 정책/16. 1945년 이후 국제 무역의 제도화/17. 세계 무역 기구/18. 특혜 무역 협정/19. 1980년대 이후 서비스 무역 자유화/20. 유럽 연합에서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
제3장 세계화, 경제 성장, 경제 발전
21. 국제 무역과 경제 성장/22. 국제 무역과 경제 위기/23. 자본 이동과 경제 성장/24. 세계화와 선진국의 발전/25. 세계화와 개발도상국의 발전/26. 세계화된 경제에서 국가의 역할/27. 세계화와 경기 조정 정책/28. 국제 경제 정책 조정/29. 전략적 무역 정책/30. 구조 조정 정책
제4장 새로운 경제 주체 : 다국적 기업과 지역 경제 블록
31. 다국적 기업:19세기~현재/32. 다국적 기업의 전략/33. 교역의 초국적화/34. 생산 기지 이전이 본국에 미치는 영향/35. 생산 기지 이전이 투자 유치국에 미치는 효과/36. 무역의 지역화/37. 무역의 지역화와 세계화/38. 유럽 통합(1950~1970)/39. 1980년대 이후 유럽 통합/40. 유럽 연합의 과제들:확대와 심화
제5장 국제 노동 분업과 전문화
41. 1945년까지의 국제 노동 분업/42. 새로운 국제 노동 분업/43. 전문화와 경제 성장/44. 전문화와 국가 경쟁력/45. 세계화 속의 중국과 인도/46. 세계화 속의 아시아 신흥 공업국/47. 세계화 속의 멕시코와 브라질/48. 세계화 속의 아프리카/49. 세계화 속의 러시아/50. 개발도상국의 교역 조건 변화
제6장 세계화의 지정학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
51. 식민화와 탈식민화/52. 남-북 관계:1950~1970/53. 1980년대 이후 남-북 관계/54. 세계화 속의 슈퍼파워:미국/55. 세계화에서 미국-유럽 연합-일본, 삼각 축의 역할/56. 세계화와 빈곤/57. 소득 불평등에 대한 세계화의 영향/58. 세계화와 고용/59. 세계화 속의 문화적 획일성과 다양성/60. 민족주의에 대한 세계화의 영향
제7장 지경학地經學적 과제들
61. 세계화와 도시/62. 기업의 지역 전략/63. 에너지 문제/64. 식량 문제/65. 보건 문제/66. 지속 가능한 발전 문제/67. 수자원 문제/68. 사회 규준 및 환경 규준의 정의/69. 세계 인구 문제/70. 단일 형태의 자본주의를 향해
제8장 국제 통화 제도와 금융 글로벌화
71. 국제 수지/72. 금 본위제에서 브레턴우즈 체제까지/73. 1970년대 이후 국제 통화 제도/74. 유럽 통화 협력/75. 환율의 결정 요소/76. 세계 경제의 유로와 달러/77. 금융 글로벌화/78. 1970년대 이후 금융 위기/79. 국제 통화 기금과 세계은행/80. 1970년대 이후 개도국의 대외 채무와 외채 관리
제9장 세계화, 조절, 시민권
81. 세계 시민권을 향해/82. 반세계화 운동의 역사/83. 오늘날의 대안 세계화 운동/84. 비정부 기구의 대두/85. 세계화와 민주주의/86. 세계화와 국가 간 분쟁/87. 새로운 세계 거버넌스/88. 개발 원조/89. 국제법 질서를 향해/90. 국제 공공재
제10장 국제 무역 이론
91. 조화, 갈등, 협력/92. 중상주의/93. 보호 무역주의의 변화/94. 애덤 스미스의 국제 무역 이론/95. 리카도의 국제 무역 이론/96. 요소 분석과 신요소 분석/97. 새로운 경제 주체의 등장과 국제 무역/98. 종속 이론/99. 비교 우위 이론 비판과 수익 체증의 법칙/100. 새로운 국제 무역 이론
역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