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질서의 지배자들

서명/저자사항
질서의 지배자들/ 임성빈 지음
개인저자
임승빈
발행사항
서울 : 법문사, 2022
형태사항
292 p. : 도표 ; 23 cm
ISBN
9788918913278
주기사항
권말부록: 세계 강대국의 현 상황과 미래 전망에 대한 컴퓨터 분석 자료 참고문헌 수록(p.287-29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5252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5252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머리말
본서는 사회과학을 입문하는 혹은 관심있는 독자들을 위하여 통시적인 역사 인식과 문화인류학적인 사회구조의 변화와 과학기술이 변화하는 정치·경제·사회의 질서체계에 대하여 우리나라를 비롯 동서양을 관찰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고대국가에서부터 현대국가에 이르기까지 6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정치·경제·사회의 질서체계의 지배적 논리와 지배자들의 특성을 파악했다.
본서의 핵심적 주제어인 ‘질서’라는 개념이 순서 정연한 질서(order)가 아닌 조화적 질서(cosmos)여야 한다는 생각은 본문을 읽으면서 분명해질 것이다. 이는 무질서(disorder)에도 가치가 있으며 패러다임 전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미와 같다.
즉, 각자의 국가와 사회에서 자신들만의 고유한 정치·경제·사회체계의 고유성은 점차로 사라지고 있으며 정서적 공동체를 강조하는 것 역시 무용해졌고 무의미해져 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와 사회의 질서체계는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어떤 질서체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는 것이 본서의 목적인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질서의 지배자들의 모습 또한 그려보는 것이 본서의 또 다른 목적이다.
목차

제1장 권력자와 권위자로 나타나는 질서의 지배자들
질서의 개념과 범주
제2장 고대국가에서의 질서
질서의 시작
신과 인간이 혼재된 고대 도시에서의 질서
고대 폴리스의 지배질서
동서양 질서의 충돌
고대 중국의 질서의 지배자들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질서의 탄생
고대 로마의 공화주의 질서의 탄생
제3장 중세국가의 질서
AD 313년 기독교 공인 이후의 질서
십자군 전쟁으로 인한 중세국가들의 질서의 재편
르네상스 발흥과 중세 도시국가들의 질서
피렌체 공화국의 질서체계
한자동맹 도시국가들의 질서체계
제4장 유럽 절대주의 국가의 질서
대항해와 30년 종교전쟁(1618-1648)이후의 질서
절대왕정 시대의 질서
중세 영주들의 관료로의 변신
질서의 새로운 지배계층으로서 관료와 시민의 등장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세국가들의 질서의 재편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질서의 탄생
제5장 근대국가에서의 질서
19세기 시민혁명과 자본주의 질서의 재편
근대 민주주의의 질서체계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서의 질서체계
국가 관료제 형성과 질서의 재편
1392년 세계는 눈을 뜨고 조선은 눈을 감다
조선의 중앙과 지방의 질서체계
구한말의 질서체계
근세 중국의 질서체계
동북아 3국의 전통적 질서체계를 무너뜨린 1840년 아편전쟁
청나라 말기의 혼란
1898년 청나라 말기의 개혁
1868년 메이지 유신 이전의 일본의 질서체계
일본의 개항과 메이지정부의 탄생
메이지 정부의 질서체계
한․중․일 3국의 관료제 형성과 근대성 비교
제6장 현대국가들의 질서
국가와 사회의 관계
현대사상에서의 질서체계
자유주의 경제적 질서체계의 강조
6․8 혁명 이후 사회적 질서의 재편
신자유주의와 진보의 경제질서
국가의 역할에 관한 보수와 진보의 논쟁
근대성과 후기근대성 논쟁
질서의 지배자로서 관료: 한국
한국의 경제적 질서의 세습화
한국의 사회적 지배자들의 특성
일본의 관료지배와 정치적 질서의 세습화
한국의 사회변동과 3대 디커플링 현상의 고착화
지리적 공동체 붕괴와 반실재의 SNS공동체 위기
계층의 신분제로 고착화 위기
제7장 강한 국가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공화적이며 개방적인 민주주의 질서체계의 강화
정치․경제․사회적 질서체계에 대한 민주적 통제의 강화
권력과 권한의 분산적 시스템 구축
자기 성찰적 공동체를 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