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연구보고서 12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실태와 정책과제

서명/저자사항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실태와 정책과제 / 정해숙 [외]저
개인저자
정해숙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324p.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12
ISBN
978898491437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3946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394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다. 용어의 정의
2. 연구 내용
가. 학업중단 청소년관련 선행연구 검토 및 성별 현황 분석
나.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생활세계 분석 및 지원 요구
다.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서비스 운영 실태
라.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3.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나. 심층인터뷰
다. 청소년지원기관 설문조사 및 사례연구
라. 현장 전문가 집담회
마. 전문가 자문회의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
1. 청소년의 위기경험과 젠더
2. 위기경험으로서의 학업중단
가. 학업중단의 원인 및 과정
나.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

Ⅲ. 학업중단 청소년의 성별 현황과 특성
1. 학업중단 규모 및 변화 추이
가. 학교급별 현황
나. 지역별 현황
다. 고등학교 계열별 현황
2. 성별 학업중단 사유

Ⅳ.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생활세계와 지원 요구
1. 심층면접 대상자의 특성
가. 학업중단시기 및 중단기간
나. 현재 가족관계 및 주거상태
다. 가출경험
라. 현재 하고 있는 일
2.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친 배경요인
가. 가족배경
나. 학교배경
다. 또래집단 배경
3.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세계 및 생애인식
가.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방식
나. 학업중단 지속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들
4. 학업중단 이후 사회적 서비스 접근 경험과 지원 요구
가. 사회적 지원 서비스와 긍정적 변화 가능성
나. 사회적 지원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한계
다. 학업 중단 여성청소년의 지원 요구
5. 소결

Ⅴ.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서비스에 대한 젠더 분석
1.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현황
가. 사회적 지원
나. 취업 지원
2. 프로그램 실태조사 분석결과
가. 조사 응답기관 특성
나. 프로그램 현황
다. 기관 및 종사자 현황
라. 프로그램별 운영 실태
3. 청소년 지원기관 사례분석
가. 기관의 특성과 현황
나.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욕구와 특성
다.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자립지원
라.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현황과 애로점
4. 소결

Ⅵ.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과제
1.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학교환경 조성
가. 학업중단 위기에 놓인 여성청소년을 위한 학교지원 체계 구축
나. 학교 상담 체계화를 통한 학교 상담 강화
다. 학업중단 숙려제 및 사회적 지원 서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도입
2. 지역사회 중심의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지원 서비스 강화
가.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조기 발굴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
나. 청소년지원기관 종사자에 대한 성인지력 향상 교육 실시
다.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학업 지원
라. 학업중단 여성청소년의 진로 및 자립 지원
마. 지역사회 공공의료서비스 체계를 통한 여성청소년의 건강 지원 서비스 강화
바. '학업중단 여성청소년 지원 네트워크' 구축ㆍ운영 지원

참고문헌

부록
1. 부표
2.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운영 실태 조사표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