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9470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947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3.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방향
Ⅱ. 남녀 결혼이민자의 현황
1. 남녀 결혼이민자의 개념
가. 이민자 개념 정의
나. 남녀 결혼이민자 개념
다. 다문화 가족 개념
라.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 개념
2. 남녀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 현황
가. 이민자와 남녀 결혼이민자의 일반적 현황
나. 남녀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 현황
3. 남녀 결혼이민자 정책 동향
가. 외국인 정책
나. 다문화가족지원정책
다. 쟁점
Ⅲ. 남녀 결혼이민자 관련 지표
1. 국제기구와 주요 선진국의 이민자 관련 지표
가. EU 등 국제기구의 이민자 관련 지표 현황
나. 주요 선진국의 이민자 관련 지표 현황과 특징
다. 남녀 결혼이민자 관련 지표 현황과 특징
2. 국내 이민자 관련 지표
가. 이민자 사회통합지표
나. 다문화 지표
다. 정책 성과지표
3. 국내 이민자 관련 통계
가. 법무부
나. 행정안전부
다. 여성가족부
라. 통계청
마. 교육과학기술부
Ⅳ.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 체계 개발
1.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 개발의 기본방향
가. 이민자 사회통합 영역의 반영
나. 한국 결혼이민의 특성 반영
다. 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연계성 고려
라. 비교대상 구체화를 위한 측정대상에 따른 지표 분류
마. 남녀 비교, 성별 특화 이슈 반영한 성 인지적 관점의 통합
2. 남녀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 선정 결과
가. 남녀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 선정 결과
나. 남녀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 선정 과정
3.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의 생산 방안
4. 주요 지표 적용 사례
가. 내국인과 외국인의 연령별 분포
나. 내국인과 외국인의 연령대별 성비
다. 내국인과 외국인의 혼인상태별 분포
라. 내국인과 외국인의 교육정도별 분포
마. 외국인 아내 이혼 시 미성년자녀수
바. 외국인 아내 이혼 시 연령
사. 결혼이민자 가구의 가구원 수 및 주택 점유형태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가. 기존 통계조사에 이민상태 파악 문항 추가
나. 주요 국가승인통계의 이민상태 파악 문항 추가
다. 가구구성원 관계 문항 개선
라.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대상 확대 등 개선
마. 결혼이민자 등 이민자가족 패널조사 실시
바. 법제도적 개선 방안
사. 남녀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지표DB 구축 및 생산 확대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