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9839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98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거주하는 노인에게는 사실상 그곳이 길게는 수십 년 이상을 거주하는 유일한 바로 내 집이다. 그래서 어둡고 무서운 요양시설이 아니라 내 집과 유사한 공간, 내 집에서의 생활처럼 편안할 수 있는 요양원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것은 정말 불가능한가?
저자는 서구의 노인요양시설 ‘문화 변화(Culture Change)’라는 개념에서 가능성을 찾는다. 비록 내 집과 똑같진 않더라도 내 집에 근접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노인요양원 문화 자체를 바꾸자는 것이다. 노인요양원 운영 철학의 변화이고 패러다임의 전환인 것이다. 서구의 경험을 분석하고 국내 노인요양원들에 대한 조사, 관련 전문가 면담, 거주노인들 면담 등을 통해 가능성을 찾으려 했다. 국내에도 자생적으로 발전한 거주노인중심 노인요양원들이 있다. 이들 요양원들을 더욱 발전시키고 그 노력을 확산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도 논의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거주 노인 중심 노인장기요양시설 도입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내용
3. 자료 및 연구 방법
1) 양적 조사
2) 질적 조사
3) 조사 응답 노인요양시설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제2장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문화 변화와 거주자중심케어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문화 변화
1) 미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역사적 특성과 문화 변화의 등장 배경
2) 문화 변화의 개념
3) 문화 변화의 구성 요인
4) 문화 변화와 관련한 국내외 연구 동향 검토
5) 문화 변화의 구체적 실천 모델
2.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1) 거주자중심케어의 개념과 특성
2) 거주자중심케어의 성과
3) 거주자중심케어의 측정 방법
제3장 외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사례
1. 미국의 경험: 캔자스 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문화 변화
2) 미국 문화 변화 운동의 등장과 역사: 연방 정부?주 정부의 변화와 지원을 중심으로
3) 캔자스 주의 노인요양시설 문화 변화 사례
4) 캔자스 주 소재의 성공적 노인요양시설 사례
5) 캔자스 주 사례의 함의
2. 호주의 경험: Eden Alternative 모델의 도입 사례
1) Eden Alternative의 발전 과정
2) 기존 노인요양시설의 ‘3가지 고질적 문제(plagues)’
3) Eden Alternative의 핵심 가치
4) 호주와 뉴질랜드 Eden Alternative(EiON)의 운영
5) Eden Alternative의 적용 사례: 호주 ‘Anam Cara’
6) 한국 노인요양시설에 주는 시사점
제4장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황 및 거주자중심케어 실태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황 및 과제
1) 노인요양시설(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포함) 현황
2) 노인장기요양보험 전체 인정자 수 및 등급외자 현황
3) 노인장기요양기관 전문 인력 현황
4)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이 해결해야 할 과제
2.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실태
1) 거주 노인의 자율성 정도
2) 거주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배려 정도
3) 개별 거주 노인에 대한 이해 정도
4) 거주 노인의 관계 형성 지원 정도
5) 거주 노인을 위한 편안한 케어의 정도
3. ‘거주자중심케어를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환경 지원’ 실태
1) 요양시설의 개별화된 환경 지원 정도
2) 거주 노인을 위한 업무 노력의 정도
3) 시설의 관리 구조 정도
제5장 거주자중심케어의 영향 요인, 발생 경로, 그리고 성과
1.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 도입을 위한 탐색적 접근
2. 거주자중심케어의 영향 요인(방해 요인) 및 발생 경로
1) 거주자중심케어의 영향 요인
2) 거주자중심케어의 방해 요인
3) 거주자중심케어의 발생 경로
3. 거주자중심케어의 성과
제6장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 노인 중심으로의 문화 변화를 위한 정책 방향
1. 거주자중심케어 모델 확산을 위한 제도적 접근
1) 공공 부문
2) 민간 부문
2. 거주자중심케어 모델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접근
1) 성공 사례 공유
2) 컨설팅을 통한 인증
3) 교육 훈련
4) 인센티브 프로그램
5) 전담 센터 설치 운영
6) 서구 모델을 응용한 한국 모델 개발 보급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