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사회와 노인장기요양시설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도입에 따른 노인시설변화
- 서명/저자사항
- 고령사회와 노인장기요양시설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도입에 따른 노인시설변화 / 김석준 지음
- 개인저자
- 김석준
- 발행사항
-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09
- 형태사항
- 296 p. : 삽도, 도표 ; 24 cm
- ISBN
- 9788926800355
- 주기사항
- 권말부록 : 국내 시설사례 참고문헌 : p. 277-282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4927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492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따라서 국내에 도입되는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내용과 이 제도가 국내 노인요양환경 및 각종 노인시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건축계획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이 책은 이러한 제도의 도입이 가져오는 사회적 영향을 시설에 주목하여 살펴본다. 건축 관련 종사자와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가 정보를 함께 공유해 보다 나은 정책 실현에 한 걸음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 연구방법
2. 연구의 구성과 프로세스
3. 주요용어 정의
제3절 선행연구 검토와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검토
2.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노인장기요양보호의 개념과 시설과의 관계
제1절 노인장기요양보호의 개념
1. 인구 고령화와 노인장기요양보호의 필요성
2. 노인장기요양보호(long term care)의 정의와 목표
3. 노인장기요양보호의 대상과 서비스의 종류
제2절 노인장기요양보호의 국제적 동향
1. 지역사회보호의 등장과 시설
2. 지역사회보호의 범위와 내용
3. 외국의 노인보호정책과 시설
제3절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호 시설의 종류와 현황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정의
2.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 종류와 특징
3.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과 지역사회
제3장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와 시설과의 관계
제1절 장기요양보호시설의 영향요인과 제도
1. 시설변화의 영향요인
2.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호제도 도입과 일본의 사례분석의 필요성
제2절 개호보험(介護保險)도입에 따른 일본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의변화
1. 노인복지정책의 흐름과 시설변화
2. 개호보험의 도입에 따른 시설의 변화
제3절 한국의 노인장기요양 보호제도와시설
1. 노인장기요양보호정책의 발전과정
2. 국내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설에 미치는 영향
제4절 국내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 사례조사
1. 사례시설 선정
2. 보호시설의 공간구성과 기능
3. 재가시설의 공간구성과 기능
제5절 소 결
제4장 제도 도입과 노인장기요양 보호시설의 변화
제1절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의 변화
1. 변화의 방향
2. 재가시설과 보호시설의 변화
3. 시설 간 기능 통합과 시설의 복합화
제2절 재가시설의 변화
1. 주간보호시설의 역할 확대
2. 다양한 형태의 단기보호시설
제3절 보호시설의 변화
1. 양로시설의 요양시설 전환
2. 요양시설의 전문요양 기능 강화
3. 요양시설의 재활 및 의료기능 강화
4. 소규모 분점형 요양시설 도입
제4절 기존시설의 활용을 통한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 확대방안
1. 무료양로시설의 기능전환
2. 중소병원의 기능전환
3. 경로당 활성화
4. 소규모 다기능 지역기반 장기노인요양보호시설 도입가능성
제5절 소 결
제5장 시설변화에 따른 공간구성
제1절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의 서비스와 공간구성
1.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의 서비스와 공간
2. 시설별 공간구성 원칙
제2절 재가시설의 공간구성계획
1. 주간보호시설
2. 단기보호시설
3. 노인재가복지센터
제3절 보호시설의 공간구성계획
1. 요양시설과 전문요양시설의 기능
2. 소규모 다기능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
3. 분점형 요양시설과 시설 간 연계
제4절 소 결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의 결과
1. 노인요양보험제도가 도입으로 예상되는 시설의 환경변화
2. 재가시설의 변화
3. 보호시설의 변화
제2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록: 국내 시설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