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요양시설과 성과측정
Nursing home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 서명/저자사항
- 노인요양시설과 성과측정 / 이원주, 지은구 공저
- 대등서명
- Nursing home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 발행사항
- 서울 : 학지사, 2015
- 형태사항
- 347 p. ; 24 cm
- ISBN
- 9788999707841
- 주기사항
- 권말부록: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개발 연구 조사표(설문지) 등 참고문헌(p. 311-333)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984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984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을 통해 제시한, 다양한 이용자의 선택적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된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은 욕구 대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보다 이용자 중심이 될 수 있으며, 노인요양시설이 보다 이용자 친화적인 시설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선 작업의 일환이다.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개선 및 품질향상 노력을 통해 조직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운영관리의 기본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의 문제 및 과정
제2장 노인요양시설과 평가
1. 개관
2. 노인요양시설의 개념 및 현황
3. 노인요양시설 평가
4. 소결
제3장 노인요양서비스의 품질과 성과
1. 개관
2. 노인요양서비스 품질향상체계 국가 간 비교와 성과
3. 사회서비스 품질관리체계
4. 노인요양서비스 개혁동향 및 품질과 성관관리체계
5. 일본, 독일, 영국의 노인요양서비스 품질관리 정책 비교
6. 소결: 한국에서의 시사점과 정책적 제언
제4장 노인요양시설과 성과측정
1. 개관
2. 성과와 성과측정 그리고 성과관리
3. 성과측정지표
4. 성과측정지표 개발
5. 노인요양시설의 상과와 성과측정
6. 소결
제5장 노인요양시설 상과측정모형 비교
1. 개관
2. 성과측정모형의 유형
3. 성과측정모형 비교
4. Talbot모형, 지은구모형, EFQM모형과 성과측정영역
5. 소결
제6장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의 이론적 배경
1. 개관
2. 성과측정의 이론적 배경
3.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요소와 이론과의 관계
4. 소결
제7장 사회복지조직, 노인요양시설 그리고 성과측정모형
1. 개관
2. 사회복지조직 성과측정모형 및 성과측정
3.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및 성과측정
4. 소결
제8장 노인요양시설 상과측정모형 개발과정
1. 개관
2.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설정과정
3.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중요도 측정: AHP분석
4. 자료수집 방법
5. 조사도구
6. 자료분석 방법
7. 소결
제9장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상과측정모형
1.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분석
2.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 최종 모형
제10장 결론 및 성과측정모형의 함의
1.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
2. 노인요양시설 성과측정모형의 함의 및 제한점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