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모형 체계 개발 : 정책연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system to support climate change policy for mitigation and adaptation in Korea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3824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3824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과 목적
가.연구의 배경
나.연구의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가.연구의 범위
나.연구의 방법
제2장 기후변화 영향 및 위약성 평가의 개념과 모델 검토
1.기후변화 영향,적응,취약성의 관계
2.모형기반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방법론
가.부문별 영향평가 방법론
나.부문간 연계 영향평가모형
다.모델분석 시사점
제3장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사례 및 동향
1.기후변화 영향 및 위약성 평가 현황
가.국외외 영향 및 위약성 평가 사례
나.국내의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사례
2.국내외 기후변화 적응대책 동향
가.국외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구축 사례
나.국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사례 및 동향
제4장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 체계 개발
1.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 체계 개발 추진체계 및 전략
가.영향예측수법으 고도화 전략
나.다른 연구 분야와 연계강화 전략
2.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 체계 개발 연구내용 및 일정
가.기후변화 대응정책지원을 위한 통합영향평가모형 추진 체계
나.기후변화 대응정책지원을 위한 통합영향평가모형 추진 방법
제5장 요약 및 제언
1.요약
2.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