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커뮤니티를 위한)마을 만들기 개론

Introduction to community planning & design

서명/저자사항
(커뮤니티를 위한)마을 만들기 개론 / 마쓰노 히로시, 모리 이와오 [공]편저 ; 장준호, 김선직 [공]편역
대등서명
Introduction to community planning & design
발행사항
서울: 형설, 2010
형태사항
450 p. : 삽도, 도표 ; 23 cm
ISBN
9788947244534
주기사항
권말부록으로 "마을 만들기 자료집" 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원서명
講座まちづくり開發入門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3852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385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서는「まちづくり開發入門」, [마쓰노 히로시(松野 弘) 외 편저, 교세이(ぎょうせせい)]를 편역한 것으로,「마을 만들기 실천」, (다무라 아키라 저, 장준호ㆍ김선직 역, 형설출판사, 2008년 3월)과「마을 만들기와 도시경관」, (다무라 아키라 저, 장준호ㆍ김선직 역, 형설출판사, 2008년 8월)의 후속판으로 볼 수 있다. 앞서 간행된 두 서적에 비하면 본서는 마을 만들기 전반을 다룬 개론적인 성격의 책으로, 부록편의 내용은 편저자의 글을 편집하여 거재한 것이다.
본서의 특징은 마을 만들기의 현황과 과제를 논리적으로 분석ㆍ평가하여 그 문제 해결 방법을 ‘정책’, ‘계획’, ‘전략’으로 나누어 상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마을 만들기 사상 부문’, ‘마을 만들기 정책 부문’, ‘마을 만들기 계획 부문’, ‘마을 만들기 전략 부문’, ‘마을 만들기 인재 개발 부문’,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부문’의 6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마을 만들기를 간단하고 앞으로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각 영역에서 기술된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강 : 마을 만들기 종합 강좌>에서는 마을 만들기의 기본적인 시점과 방향 및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에 따른 대응 방향에 대해 마을 만들기의 종합적인 시점에서 기술하고 있다.
<강좌 1 : 마을 만들기 사상>에서는 매력 있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사상의 확립으로 이념의 구축, 절차, 마을 만들기와 경관, 시민참가, 마을 만들기의 방책 순으로 언급하고 있다.
<강좌 2 : 마을 만들기 정책>에서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시민 활동의 방향과 정책 활동의 전개에 대해, 그리고 <강좌 3 : 마을 만들기 계획>에서는 지방 분권 시대에서의 마을 만들기 계획이라는 테마로 마을 만들기 계획 및 구성요소에 대해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
<강좌 4 : 마을 만들기 전략>에서는 마을 만들기의 전략과 전개방법에 대해 마을 만들기에서 필요한 것과 공동체생활의 기반 만들기 등 마을 만들기의 기반을 이루는 조건에 대해 상술하고 있다.
<강좌 5 : 마을 만들기와 인재 개발>에서는 매력 있는 마을 만들기와 인재 개발의 방법으로 인재를 양성하는 방법과 리더의 요건 및 역할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강좌 6 :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에서는 매력 있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실천과 전개라는 테마로, 모두 8개 지역의 사례를 특징별로 분류하여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목차

간행에 즈음하여
머리말
역자 서문

제1부 : 시민주의에 입각한 마을 만들기의 관점과 방법
서강, 마을 만들기 종합 강좌
1장. 마을 만들기 신시대의 기본적 시점과 방향
1절. 마을 만들기의 배경과 의의
2절. 마을 만들기 신시대의 기본적 시점과 대응 방향
강좌 1. 마을 만들기 사상
2장. 매력 있는 마을 만들기의 사상
1절. 마을 만들기의 이념
2절. 마을 만들기의 절차
3절. 마을 만들기와 경관
4절. 마을 만들기와 시민참가
5절 시민과 행정에 의한 마을 만들기의 방책
강좌 2. 마을 만들기 정책
3장. 마을 만들기 신시대의 시민활동의 방향과 정책활동의 전개
1절. 마을 만들기와 시미참가의 전개
2절. 마을 만들기와 정책(Ⅰ)
3절. 마을 만들기와 정책(Ⅱ)
강좌 3. 마을 만들기 계획
4장. 지방 분권 시대에서의 마을 만들기 계획
1절. 마을 만들기 계획이란
2절. 마을 만들기 계획의 구성요소
3절. 맺음말 - 마을 만들기와 전망
강좌 4. 마을 만들기 전략
5장. 마을 만들기ㆍ마을 일으키기의 전략과 전개
1절. 마을 만들기에는 먼저 무엇이 필요한가?
2절. Community 생활의 기반을 만들자
3절. 산업의 재검토 혹은 연계(Linkage)
4절. 생활 의식에 뿌리내린 문화 만들기
5절. 마을 만들기 테마를 실현하는 두 가지 포인트
6절. 마을 만들기의 기반을 이루는 5가지 조건
맺음말 - 지복천년(至福千年)의 사상을

제2부 : 매력 있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인재 개발과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 지역 개성에 대응한 사례집
강좌 5. 마을 만들기와 인재 개발
1장. 실천적인 사람 만들기론
1절. 마을 만들기는 사람 만들기
2절. 사람 만들기 사설학교
3절. 지역 리더의 요건과 역할
강좌 6.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2장. 매력 있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실천과 전개
1절. 마을 만들기와 교류 - 새로운 가치의 창출
2절. 이벤트 - 마을 만들기의 유효한 촉매
3절. 국제 교류 - 지역을 상대화하는 시점
4절. 인재와 리더 - 마을 만들기 추진의 핵

마을 만들기 자료집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