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건강증진
Communicating health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on
- 서명/저자사항
-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건강증진 / 정민수 저
- 대등서명
- Communicating health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on
- 개인저자
- 정민수
- 발행사항
-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2014
- 형태사항
- 200 p. : 삽화 ; 26 cm
- ISBN
- 9788985460248
- 주기사항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084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084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보건의료 분야는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전문가 집단과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과 질
병예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실천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보건학적 목적 달성
을 위해 중요한 방법인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공서적이다. 이 책은 전체 7장으로 나눠져 있는데
1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역사를 다루며 2장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건강행태 이론 및 메시
지 구조와 프레임에 대한 기초를 학습한다. 3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좀 더 심화하여 정보 처
리와 메시지 소구 및 지각된 미디어 영향과 같은 모형들을 다룬다. 4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가장
많이 동원되는 도구인 매스미디어를 분석하고 그것의 유형과 기능을 살펴본다. 5장은 리스크 커뮤니
케이션, 헬스 리터러시, 의도되지 않은 효과, 그리고 소셜 마케팅 등의 영역을 통해 헬스 커뮤니케이
션의 활용 전략을 다룬다. 6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새로운 주제들로 건강정보 탐색행동, 사회
자본,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불평등과 암 생존자 등에 대한 이론과 개념들을 경험적인 자료와 함께 다
룬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커뮤니케이션 불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보
고 진화된 정보통신 환경을 통해 어떻게 인구기반 건강증진을 실현할 것인지 제언한다. 이 책을 통해
보건관리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과 대학생들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이론적 기
초와 실천적 적용을 학습하여 보건과 연관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연구 역량을 키울 수 있다. 참
고문헌 등 자료를 정리하는데 대학원 석사과정의 지도학생인 김지연의 수고가 많았다. 매년 필자의
보건의사소통 강좌를 듣는 동덕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재학생들과 책의 출간을 지원해준 동덕여대
출판부에 심심한 감사의 말을 전한다.
2014년 12월
서울, 월곡동 연구실에서
정 민 수
병예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실천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보건학적 목적 달성
을 위해 중요한 방법인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공서적이다. 이 책은 전체 7장으로 나눠져 있는데
1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역사를 다루며 2장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건강행태 이론 및 메시
지 구조와 프레임에 대한 기초를 학습한다. 3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좀 더 심화하여 정보 처
리와 메시지 소구 및 지각된 미디어 영향과 같은 모형들을 다룬다. 4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가장
많이 동원되는 도구인 매스미디어를 분석하고 그것의 유형과 기능을 살펴본다. 5장은 리스크 커뮤니
케이션, 헬스 리터러시, 의도되지 않은 효과, 그리고 소셜 마케팅 등의 영역을 통해 헬스 커뮤니케이
션의 활용 전략을 다룬다. 6장은 헬스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새로운 주제들로 건강정보 탐색행동, 사회
자본,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불평등과 암 생존자 등에 대한 이론과 개념들을 경험적인 자료와 함께 다
룬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커뮤니케이션 불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보
고 진화된 정보통신 환경을 통해 어떻게 인구기반 건강증진을 실현할 것인지 제언한다. 이 책을 통해
보건관리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과 대학생들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이론적 기
초와 실천적 적용을 학습하여 보건과 연관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연구 역량을 키울 수 있다. 참
고문헌 등 자료를 정리하는데 대학원 석사과정의 지도학생인 김지연의 수고가 많았다. 매년 필자의
보건의사소통 강좌를 듣는 동덕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재학생들과 책의 출간을 지원해준 동덕여대
출판부에 심심한 감사의 말을 전한다.
2014년 12월
서울, 월곡동 연구실에서
정 민 수
목차
1장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등장
1 헬스 커뮤니케이션이란?
2 정의, 개념, 역사
3 연구영역과 경향
2장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I)
1 커뮤니케이션 이론
2 건강행태 이론
3 메시지의 구조와 프레임
3장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II)
1 정보 처리
2 메시지 소구
3 지각된 미디어 영향과 사회규범
4장 매스미디어와 건강
1 정보원의 종류와 성격
2 매체의 종류와 성격
3 미디어의 기능
4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캠페인 사례들
5장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활용과 전략들
1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2 헬스 리터러시
3 의도되지 않은 효과
4 수용자 세분화와 소셜 마케팅
6장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주제들
1 건강정보 탐색행동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2 사회자본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3 커뮤니케이션 불평등과 암 생존자
7장 커뮤니케이션 불평등을 넘어서
1 커뮤니케이션 불평등을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