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1):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서명/저자사항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1):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최은진, 김미숙, 김지은, 박정연
- 발행사항
-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39 p. : 도표 ; 24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1-32-03 연구보고 11-R22-2 정책보고서 2011-44
- ISBN
- 9788978169868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0150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01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기대효과
제2장 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와 정책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의 개념과 범위
2.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예방 및 증진과 관련된 요인
3. 세계보건기구의 건강증진학교 개념과 건강증진 정책 접근 방향
4.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정책 및 사업관련 연구의 현황
제3장 외국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1. 미국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1)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목표와 정신건강 증진 정책
2) 학교 및 지역사회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정책
2. 캐나다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3. 여국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1) 학교기반의 정신건강 증진 정책
2) 지역사회차원의 정신건강 증진 정책
4. 호주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1) 학교 정신건강 증진 사업인 마음의 문제(Mindmatters) 프로그램
2)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제4장 국내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1.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현황
2.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수준 파악을 위한 정부 정책의 현황
3.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 대상의 정신건강 증진 정책 목표
4.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의 우수사례 분석
5. 소결
제5장 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에 관한 FGI 조사결과
1. 조사개요
1) 조사방법
2. 조사결과
1) 학교에서의 상담 서비스 이용 경험
2) 민간 병의원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경험
3. 아동ㆍ청소년 FGI 조사 결과
1) 학교에서의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2) 가정, 지역사회에서의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4. 학부모 FGI 조사 결과
1) 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상태
2)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 서비스 이용경험
3) 기타
4) 고등학교 학부모 대상의 간담회의 결과
5. 소결
제6장 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정책 개선에 관한 델파이 조사결과
1. 조사개요
2. 1차 델파이조사 결과
1) 1차 델파이 조사 개요
2) 1차 델파이 조사의 주요 결과
3. 2차 델파이조사 결과
4. 소결
제7장 정책제언
1. 기본방향
2. 정부의 수준별 정책개선 방향
1) 학교 정신보건정책의 과제
2) 시도 및 시군구 교육(지원) 청차원의 정신보건정책 과제
3)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
4)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정책개선 방안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