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연구보고서 2011-31

성평등 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III) : 대학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서명/저자사항
성평등 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III) : 대학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 안상수; 박성정; 최윤미; 김금미 공저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499p. ; 25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1-31
ISBN
978898491475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3997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399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가. 대학 내 활동 참여에서의 성별분리 현황 파악
나. 대학 내 세부 영역별 성평등 실천 실태 파악
다. 성평등 실천의 촉진 및 저해 요인 파악
라. 성평등의식이 실천으로 연계되어지는 심리ㆍ사회적 경로 파악
마. 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추이 및 새로운 형태의 성차별의식 비교
바. 대학 내 조직문화의 성평등 실태 파악
사. 대학생의 성희롱 및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과 피해 유형 검토
아. 대학생의 이성관계 및 결혼관 관련 사항 검토
자. 대학생의 진로 및 취업 장애 요인
3.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실태조사
다. 초점집단면접(FGI)
라. 전문가 자문회의
4. 연구의 범위와 한계점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 생활의 성평등 문화 및 실천
가. 대학생, 대학교육 및 대학생활
나. 2009년 및 2010년 성평등 실천 실태 연구
다. 대학생활과 성평등 문화 및 실천
라. 성평등한 대학생활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마. 대학생의 성평등 의식과 관련된 요인들
바. 연구의 방향
2. 대학생의 이성관과 결혼관
3. 대학생의 취업과 진로
4. 대학생의 성희롱 및 데이트 폭력
가. 대학 내 성희롱
나. 데이트 폭력과 강간 통념

Ⅲ. 대학 생활영역에서의 성평등 실천 실태조사 결과
1. 대학생활 활동의 성별분리 실태
가. 대학생
나. 대학원 생활 활동의 성별분리 실태
다. 대학 및 개인 관련 변수 통제 후의 회귀분석결과
라. 소결
2. 상황별 성평등 실천
가. 조별과제에서의 역할분배
나. 동아리 활동에서의 역할분배
다. 전공교실에서의 역할분배
라. 미래 직장 생활에서의 역할분배
마. 미래 가정생활에서의 역할분배: 가사 활동 참여
바. 소결
3. 대학(원)생의 성평등의식
가. 남녀평등의식
나. 생활영역별 남녀평등의식
다. 대학(원)생의 양가적 성차별의식
라. 남녀평등의식과 양가적 성차별의식 간의 관계
마. 양성평등정책에 대한 태도
4. 대학생활과 성평등 문화
가. 대학 내 성차별문화 인식 현황
나. 대학 내 남녀평등 저해요인
다. 동아리 및 학과 활동
라. 음주문화
마. 교우관계
바. 삶의 만족도
사. 소결
5. 대학생의 이성관계 및 결혼관
가. 이성관계
나. 결혼관
다. 소결
6. 대학생의 취업과 진로
가. 취업 및 진로장벽
나. 미래 직장생활
다. 대학생의 삶의 질
라. 소결
7. 대학 내 성희롱 및 데이트 폭력
가. 대학 내 성희롱
나. 데이트 폭력
다. 성폭력
라. 소결

Ⅳ. 대학생활에서의
1. 성평등의식과 대학생활에서의 성평등 실천의 관계
가. 의식과 실천
나. 의식과 가정영역에서의 실천
다. 대학생의 가사활동참여 촉진 및 저해요인
2.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성평등 실천의 촉진 및 저해요인
3. 사회구조적 변수에서 행동으로-성평등 실천/장애요인 모형 검증 결과
가. 전체
나. 남성
다. 여성
4. 대학생활 영역의 성평등 실천 경헌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가. 집단면담 개요
나. 성평등 실천 의식 및 행동
다. 소결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 결과의 종합
가. 대학생활 활동의 성별분리 실태
나. 상황별 성평등 실천
다. 대학(원)생의 성평등의식
라. 대학생활과 성평등 문화
마. 대학생의 이성관계 및 결혼관
바. 대학생의 취업과 진로
사. 대학생의 삶의 질
아. 대학 내 성희롱 및 데이트 폭력
자. 의식과 성평등 실천의 관계
차.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성평등 실천의 촉진 및 저해요인
카. 사회구조적 변수에서 행동으로-성평등 실천/장애요인 모형 검증
타. 초점집단인터뷰(FGI)
2. 정책제언
가. 의식 및 대학문화 개선 부문
나. 제도 및 정책부문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조사 질문지(학부생용)
부록 2. 조사 질문지(대학원생용)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