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GIS 지리정보학 : 이론과 실습

서명/저자사항
GIS 지리정보학 : 이론과 실습 / 이희연, 심재헌 [공]저
판사항
제2판
개인저자
이희연 | 심재헌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11.
형태사항
xv, 820 p. : 삽도, 도표 ; 27 cm + 전자 광디스크(CD-ROM) 1매(12 cm).
ISBN
9788918250762
주기사항
GIS는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의 약어임. 찾아보기: p. 817-820. 참고문헌: p. 799-81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027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02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GIS는 지난 40여 년 동안에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에 GIS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1980년대까지는 지도 제작과 환경 분야 및 공공기관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1990년대에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접목시키면서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까지 GIS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통신기술과 인터넷의 영향으로 GIS는 일반인에게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그 사용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다. 웹을 통해 일반인들도 GIS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전 세계의 지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 GIS를 통해 교통혼잡이나 환경 관련정보, 지역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의 등장과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위치기반서비스도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국가 GIS 사업이 시작된 이후 상당히 많은 공간 데이터가 구축되었으며, 각 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는 구축된 공간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지난 10여년 동안 GIS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GIS 소프트웨어들도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인터페이스도 향상되어 큰 어려움 없이 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용가능한 공간정보들도 비교적 풍부하며 다양해졌다. 이렇게 우리나라에 GIS가 널리 보급되면서 우리나라 GIS 교육환경도 매우 양호해졌으며 GIS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위한 교육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GIS를 활용하여 보다 고부가가치의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거나 이해관계가 복잡한 문제나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계획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전에 계획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차원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리정보학(GISc: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이라는 이름으로 이 책이 발간된 지 벌써 8년이 지나고 있다. 처음 이 책을 집필할 당시 공간정보과학으로서 GIS가 공간상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고부가가치의 정보나 지식을 창출하여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학문분야로서 성장해나가기를 기대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기대는 지리정보학 ?제2판?을 집필하면서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제2판에서는 GIS를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분석방법론과 적용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2판?은 총 5개 편 15개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편은 GIS란 무엇이며, 어떠한 발달과정을 겪어왔으며, 또 앞으로 어떻게 발달해나가야 하는가를 전망하였다. 제2편에서는 GIS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선수적으로 이해하여야 하는 내용들을 다루었다. 특히 지도의 개념과 지도 투영법, 그리고 좌표체계에 대한 이론들을 소개하였고 공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과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초적인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GIS가 기본적으로 수치지도를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수치지도가 어떻게 구축되는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3편에서는 GIS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부문인 GIS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베이스 및 구축된 데이터의 품질관리와 표준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GIS 데이터 모델의 가장 전형적인 벡터 데이터 모델, 래스터 데이터 모델, 수치지형모델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속성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최근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지오데이터베이스 모델도 소개하였다. 지리정보학 ?제2판?에서 가장 크게 바뀌고 새로워진 부분은 제4편과 제5편이다. 제4편은 GIS의 공간분석과 공간통계를 다루었다. GIS의 기초적인 공간분석 기법에서부터 고차적인 공간분석 기법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GIS가 다루는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공간 데이터들의 분포 양상과 공간 패턴을 탐색하는 다양한 분석기법들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특히 점 데이터의 패턴 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측정하고 검정하는 방법들도 다루었다. 뿐만 아니라 공간 데이터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 효과(공간적 의존성과 공간적 이질성)를 고려할 수 있는 공간계량모델의 개념 및 활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제5편은 GIS 모델링과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대하여 폭넓게 고찰하였다. GIS의 다양한 분석기능들을 통합한 GIS 모델링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정보나 지식을 창출하는 사례들을 통해 GIS가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한편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념과 목적 및 이론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였고, 다기준 평가기법을 통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어떻게 창출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최근 GIS는 복잡하고 상충적인 공간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이해관계자들과 지역주민들이 참여하여 합의를 도출해나가는 공공 참여적 GIS와 협력적 GIS를 지향해나가면서 GIS의 활용분야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해나가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공 참여적 GIS 사례와 협력적 GIS가 어떻게 발달해왔는가를 고찰하였다. 마지막 단원에서는 계획지원시스템의 개념과 특성 및 활용사례를 살펴보았다. 계획지원시스템은 계획목표들 간에 상충성이 크고 이해관계 당사자들 간에 합의를 도출하기 어려운 계획들을 수립하는 경우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과학적 분석과 예측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접근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GIS를 이론으로만 학습하여서는 학습효과가 낮으며 활용 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실습을 통해서 이론에서 배운 개념과 기법들을 숙달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rcGIS 10.0 버전을 이용한 GIS 실습을 통해 GIS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직접 조작하고 그 결과물을 산출하여 해석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전체 13개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습 내용들은 앞의 이론 부분에서 학습하였던 개념들과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전에 ArcGIS를 다루어본 경험이 없는 독자들도 누구나가 실습을 따라서 학습하면 충분히 Arc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 1 장 GIS의 특성과 활용분야
제 1 절 GIS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
제 2 절 GIS의 기초학문 분야와 GIS의 구성요소
제 3 절 GIS의 활용범위와 응용분야

제 2 장 GIS의 등장 배경과 발달과정
제 1 절 GIS의 등장 배경
제 2 절 GIS의 발달과정
제 3 절 GIS의 환경변화와 발전방향

제 3 장 지도의 이해와 지리좌표체계
제 1 절 지도의 개념과 지도의 분류
제 2 절 지구의 형상과 데이텀
제 3 절 좌표체계와 GPS
제 4 절 지도 투영법

제 4 장 공간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입력
제 1 절 공간 데이터의 획득과 수집 방법
제 2 절 데이터의 입력과 입력 방법
제 3 절 입력된 데이터의 수정과 좌표 변환

제 5 장 공간 데이터 모델
제 1 절 데이터 모델의 개념과 유형
제 2 절 벡터 데이터 모델
제 3 절 래스터 데이터 모델
제 4 절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간의 호환

제 6 장 표면 모델링과 수치지형모델
제 1 절 표면 모델링 개념과 수치지형모델링
제 2 절 수치지형데이터의 취득방법과 표본추출 방법
제 3 절 수치지형모델의 유형
제 4 절 점 데이터로부터 연속적 표면의 생성

제 7 장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제 1 절 데이터베이스 개념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제 2 절 데이터 모델링과 개체-관계모델
제 3 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제 4 절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제 5 절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제 8 장 데이터의 질과 데이터의 표준화
제 1 절 데이터의 질에 대한 개념과 평가요소
제 2 절 오차의 발생원과 오차에 대한 관리
제 3 절 데이터의 표준화
제 4 절 공간 데이터의 교환 표준과 메타데이터

제 9 장 기초적 공간분석 기법
제 1 절 GIS의 공간분석 개념과 기능
제 2 절 커버리지의 조작?질의?재부호화
제 3 절 중첩의 개념과 분석 기능
제 4 절 버퍼의 개념과 분석 기능

제 10 장 고차적 공간분석 기법
제 1 절 근접분석의 개념과 기법
제 2 절 지형 분석과 하계망 분석
제 3 절 네트워크 분석

제 11 장 공간패턴 분석
제 1 절 공간 데이터의 특성과 공간패턴 분석
제 2 절 점 데이터의 패턴 분석
제 3 절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

제 12 장 공간계량모델
제 1 절 공간계량모델의 개념과 특성
제 2 절 공간회귀모델의 특성과 활용
제 3 절 지리가중회귀모델의 특성과 활용

제 13 장 GIS 모델링
제 1 절 GIS 모델링 개념과 모델의 유형
제 2 절 모델링 과정과 흐름도
제 3 절 기술적 모델과 처방적 모델
제 4 절 GIS 모델링의 활용 사례

제 14 장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공공 참여적 GIS
제 1 절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념과 시스템의 구성
제 2 절 공간적 다기준 의사결정방법론
제 3 절 공공 참여적 GIS와 협력적 GIS

제 15 장 계획지원시스템의 특성과 활용
제 1 절 계획지원시스템의 개념과 발달과정
제 2 절 계획지원시스템의 특징과 기능
제 3 절 계획지원시스템의 활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