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30집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아동발달

서명/저자사항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아동발달/ 김광혁
개인저자
김광혁
발행사항
파주: 집문당, 2011.
형태사항
169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30집
ISBN
9788930315319
주기사항
설명적 각주 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p. 155-16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086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086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에서는 가족빈곤, 가구주의 실업, 한 부모 가족구조 등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의 영향이 다양한 아동발달 영역에 따라, 발달시기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기 학령기 아동이 있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아동발달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발달 향상을 위해 아동 및 가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가족소득이나 가족구조의 영향을 매개하는 변수들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아동이나 부모 등 개별적인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부분적인 접근보다는 모든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 책은 지금까지 산발적으로 논의되어 온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특히 각 변수의 시간적 차원을 고려하여 가족빈곤의 기간이나 시점, 실업의 시점 등에 따라 아동발달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종단자료와 종단자료의 분석에 적합한 구조방정식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불어 이 분야 연구의 새로운 이론적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아동발달 영역을 고려한 사회적 개입의 지점을 보다 분명히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목차

제1장 서론
1.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아동발달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연구의 이론 및 정책적 함의

제2장 이론적 고찰
1. 인적 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
2. 사회적 자본이론(Social capital theory)
3. 가족과정모델(Family process model)
4.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m theory)

제3장 선행연구의 고찰
1.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3. 국내 연구의 동향 및 한계, 그리고 대안

제4장 분석 자료와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방법
3. 주요 변수의 정의 및 기초분석

제5장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
1.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
2.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친 영향
3.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공격성에 미친 영향

제6장 가족빈곤과 실업, 가족구조가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1. 초등학생 모형
1) 측정모형
2) 구조방정식모형
2. 중학생 모형
1) 측정모형
2) 구조방정식모형

제7장 가족소득의 변화가 아동발달의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인 영향
1. 주요 변수의 변화궤적 분석결과
1) 가족소득의 변화궤적 분석결과
2) 학업성취도의 변화궤적 분석결과
3) 우울 및 불안의 변화궤적
4) 공격성의 변화궤적
2. 가족소득의 변화가 아동발달 변화에 미친 영향
1) 가족소득의 변화가 학업성취도의 변화에 미친 영향
2) 가족소득의 변화가 우울 및 불안의 변화에 미친 영향
3) 가족소득의 변화가 공격성의 변화에 미친 영향

제8장 요약 및 논의
1.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3. 소득의 변화가 아동발달의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인 영향
4.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발달시기 및 영역별 차이
5.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