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171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171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2장 고용-복지 선순환에 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자본주의 다양성론: 거시경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의 논리
제2절 복지국가체제론: 탈상품화와 복지국가 유형
제3절 고용체제론: 노동시장구조와 노동이동의 유형화
1. 고용체제론과 노동시장구조
2. 노동시장제도와 일자리 이동의 구조화
제4절 숙련형성체제론
제5절 고용-복지 거버넌스의 모색: 서비스경제의 삼중모순과 부문 간 생산성 격차
제6절 한국의 고용-복지체제
제7절 소결: 이론적 논의의 종합
제3장 OECD 주요 국가의 고용과 복지의 구조변화
제1절 고용-복지 선순환 모델의 경험적 검토
제2절 자료와 변수, 분석모형
제3절 '괜찮은 일자리'와 '복지국가 관대성'지수
제4절 분석결과
제5절 조정형 시장경제와 보편적 복지의 결합: 독일과 스웨덴
제6절 소결: 요약 및 논의
제4장 고용-복지 선순환과 혁신
제1절 고용-복지 선순환에서 혁신의 역할
제2절 혁신체제론
제3절 국가혁신지수
제4절 혁신과 복지
제5장 고용-복지 모형과 가치관
제1절 서론
제2절 탈물질주의 가치관과 복지의식
제3절 탈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직업의식, 직업의식과 괜찮은 일자리
제4절 요약 및 논의
제6장 결론
SUMMARY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