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학자, 노년을 성찰하다
Humanistic Introspection on the Aged
- 서명/저자사항
- 인문학자, 노년을 성찰하다/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노년인문학센터, 송명희, 채영희, 한혜경, 강인욱, 신명호, 장세호
- 대등서명
- Humanistic Introspection on the Aged
- 발행사항
- 서울 : 푸른사상사, 2012
- 형태사항
- 247 p. ; cm
- 총서사항
- 노년 인문학 총서 1
- ISBN
- 9788956409184
- 주기사항
- 색인 : p. 241-245 참고문헌 : p. 229-239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1937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19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제1장 노년담론의 문학적 성찰
노년담론의 소설적 형상화 송명희
박완서의「마른 꽃」을 중심으로
I. 노년에 대한 새로운 가치의 정립이 필요하다
II. 타자화되어가는 노년
III. 결론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송명희
「화장」을 중심으로
I. 서론- 포스트모더니즘과 몸담론
II. 「화장」에 나타난 몸담론
III. 결론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송명희
이창래의 「제스처 라이프」를 중심으로
I. 서론
II. 페르조나로서의 삶에 대한 회의
III. 아니마로서의 여성 - 메리 번즈, 서니, 그리고 K(끝애)
IV.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V. 결론
제2장 노녀담론의 사회인문학적 성찰
노인 어휘망에 나타난 '늙음'의 의미분석에 따른 새로운 노년인식 채영희
I. 머리말
II. 말뭉치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대한 수식어 양상
III. 우리말과 외국의 노인 호칭어를 통해 본 노년인식
IV. '늙음'과 '낡음'의 관계
V. 노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의료와 미디어 산업의 노년담론 비판 한혜경
젊음의 연장이 아닌 노년의 복원
I. 문제 제기
II. 의료 산업의 관리대상으로서 노년
III. 미디어 세계 속의 노년
IV.결론 : 주체적 삶의 과정으로서 노년의 재구성
제3장 노년담론의 역사 · 철학적 성찰
노인, 인류의 진화를 인도하다 강인욱
I.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II. 유인원에게 노인이란 의미는?
III. 두 발로 걷는 업보
IV. 고려장, 그 검증되지 않은 신화
V. 늙은 말에 길을 물어라
『대학공의(大學公議)』를 통한 본 다산 정약용의 노년담론 신명호
I. 머리말
II. 고려말『대학장구』의 수용과 노년담론
III. 다산의 『대학공의』저술과 노년담론
인간 도리의 근원, 공자의 효사상 장세호
I. 서언
II. 종법
III. 인학(仁學)
IV.효
V.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