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사회자본

서명/저자사항
사회자본/ 난 린 지음 ; 김동윤, 오소현 [공]옮김
개인저자
Lin, Nan | 김동윤 | 오소현
발행사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CommunicationBooks : CB, 2008
형태사항
xiv, 375 p. : 삽도, 도표 ; 23 cm.
ISBN
9788984999466
주기사항
찾아보기: p. 361-375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p. 341-360
원서명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156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15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자본은 개인의 지위와 명예를 바꾸었다.
다원화, 네트워크화 된 현대는 사회자본의 시대이다.
지금 알아야 할 사회자본 이론의 핵심을 짚었다.


자본이론에서 출발하여 이론화 되고 있는 사회자본 개념에 대해 소개한 책이다. 자본, 인적자본, 물적자본, 문화자본 등 여러 자본이론과 비교해 사회자본의 요소와 사회자본이 개인과 집단에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사회자본 이론이 사회과학 연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또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사이에 사회자본이 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사회자본이란 개념이 생소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에 속하여 살아가는 이상 개인과 집단은 사회자본을 선택하고 소유하고 소비한다. 이 책은 사회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개인과 집단에 의해 사회자본이 어떻게 선택되는지 설명한다. 더불어 사회자본의 영향과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의 사회자본의 영향까지 다루었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부에서는 자본이론의 역사를 설명하고 사회자본 개념을 자본이론에서 이끌어와 설명하였다. 자원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구조에 배태되는 방식을 설명하고, 행위자가 선택 행위를 하는 방식에 동기와 상호작용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설명하였다. 이어 사회자본 이론의 구성 요소를 요약하고, 이 이론의 전제 조건을 체계적으로 소개한 후, 사회자본 이론 연구의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사회자본과 지위 획득의 관계와 사회자본의 불평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연구로 1부를 마무리하였다.
제2부에서는 사회자본 이론을 보다 다양한 연구 영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선택 행위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제도적이고 구조적인 맥락으로 관심을 전환하였다. 먼저 선택 행위가 사회구조를 이끈다는 주장의 이론적 가능성을 조사하였고, 사회적 교환이 합리성을 수반하는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선택 행위가 사회구조를 이끌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사회자본 이론이 현재의 제도와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대안 제도를 통해 획득되는 자본의 창출이라는 맥락에서 사회변동을 설명하는 데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공간 내 사회적 관계의 폭증과 사회자본이 감소하거나 죽어가고 있다는 때 이른 주장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사이버 공간의 중요성을 되새겨보았다. 다시 말해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에서의 행위와 선택이 보유되고 세계화되는 방식을 다루었고, 나아가 이것이 기술적으로 보다 선진화된 사회에서 더 많은 권력과 생명력을 획득하게 되는 방식을 논의하였다.
목차

서문

제1부 이론과 연구

1 자본이론: 역사적 기초
고전적 이론: 자본에 관한 마르크시즘적 견해
신자본 이론: 인적자본
문화자본: 하나의 논쟁
신자본 이론적 설명 방식: 구조적으로 강제된 행위

2 사회자본: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포착된 자본
사회자본은 왜 작동하는가?
관점을 달리하는 것과 개념화하기
쟁점과 명료화

3 자원, 위계, 네트워크, 그리고 동질성: 구조적 기초
자원과 자원의 사회적 할당
자원의 거시구조: 위계와 사회적 지위
상호작용과 동질성: 네트워크 형성과 사회자본
결어

4 자원, 동기, 그리고 상호작용: 행위의 기초
‘무엇을 아는가가 아니라 누구를 아는가’: 자원의 미시구조
자원을 위한 동기: 목적 지향적 행위
동질적 상호작용과 이질적 상호작용
상호작용을 이끄는 행위: 기대의 형성
자본화에서의 구조적 강제와 기회
결어

5 사회자본 이론과 그 이론적 명제
사회자본 이론
사회자본 이론의 가정
이론적 명제: 구조적으로 배태된 자원과 목적 지향적 행위
행위 효과의 구조적 우연성
결어

6 사회자본과 지위 획득: 연구전통
공식적 연구와 이론적 기초
사회적 자원과 사회자본: 이론적 수렴
연구 모델과 증거
쟁점과 연구 방향
결어

7 사회자본의 불평등: 연구 의제
이론적 논의
연구, 표집, 그리고 자료
인적, 제도적 자본에서의 결손
사회자본의 측정: 지위생성기
여성을 위한 사회자본의 결손
사회자본 결손에 대한 향후의 분석
사회자본으로 돌아가서
요약과 논의

제2부 개념의 확장

8 사회자본과 사회구조의 등장: 합리적 선택이론
사회학적 이론화
행위의 원칙들: 손실의 최소화와 이득의 최대화
인지와 이익: 상호작용 원칙들
자원의 계승과 전환: 원시집단의 탁월성
인적자본, 사회자본,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집단과 공적자본
사회적 계약
사회체계에서의 긴장의 근원
결어

9 명성과 사회자본: 사회적 교환을 위한 합리적 기초
교환: 사회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
거래와 관계의 합리성
정교화된 관계의 합리성
요약
향후의 분석

10 위계구조에서의 사회자본
구조적 변수와 그 효과
자원의 차이
구조와 개인을 위한 함의
구조적 강제 대 사회자본
개인적 행위 대 사회자본
동원과 결속감: 몇 가지 정책적 함의

11 제도, 네트워크, 그리고 자본의 형성: 사회변동
제도 영역과 조직-사회 동일 구조
자본의 흐름
조직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직화: 대리인 신뢰하기와 강제하기
제도적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네트워크
안으로부터의 전환: 미국에서의 여성연구
대안 제도화 구성하기: 중국의 공산당 혁명
요약
결어

12 사이버 네트워크와 지구촌: 사회자본의 융성
인터넷과 사이버 네트워크: 새로이 등장하는 사회자본
파룬궁: 사회자본과 사회운동 사례연구
결어

제3부 글을 마치며

13 사회자본 이론의 미래
사회자본 모델링하기
거시적 함의와 미시적 함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