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배우자의 다양성과 국제결혼의 안정성
- 서명/저자사항
- 외국인 배우자의 다양성과 국제결혼의 안정성/ 김두섭 저
- 개인저자
- 김두섭
- 발행사항
- 서울 : 집문당, 2013
- 형태사항
- 289 p. : 삽화, 도표 ; 24 cm
- 총서사항
-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40집
- ISBN
- 9788930315005 (세트) 9788930315869
- 주기사항
- 부록[부표]: 1.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 국제결혼, 2000-2011, 2. 외국인 남편의 출신국가별 국제결혼, 2000-2011, 3. 국제결혼의 비중, 2000-2011. 외 참고문헌 (p. 263-280) 및 색인 수록 이 책은 2011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2195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219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국제결혼의 사회인구학적 이해
1. 국제결혼 증가의 배경과 설명틀
1) 인구의 성 및 연령구성의 변화
2) 결혼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의 변화
3) 혼인 양상의 변화
2. 국제결혼의 증가추세
1) 한국 남자의 국제결혼
2) 한국 여자의 국제결혼
3. 국제결혼 부부의 지역적 분포
4.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특성
2)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의 특성
3) 국제결혼과 외국인 배우자의 다양성
5.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
1) 이혼 건수와 결혼지속기간의 변화추세
2)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제3장 국제결혼 부부의 상이성과 결혼안정성
1. 선택적 결혼의 모형
2. 동질혼과 결혼안정성
1) 연령과 교육수준의 격차
2) 결혼의 안정성
3. 국제결혼의 개방성
1) 가설의 도출
2) 연구문제
제4장 결혼지속기간과 이혼 확률의 분석
1. 자료, 분석대상과 분석틀
1) 자료와 분석대상
2) 분석틀과 주요 변수
2.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
3. 부부의 거리와 결혼지속기간
1) 부부의 거리
2)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 결혼지속기간
4. 결혼지속기간의 분산분석과 회귀분석
1) 분산분석(ANOVA)
2) 회귀분석
5. 이혼 확률의 이항로짓분석
제5장 다문화사회
1. 심리적 태도, 차별과 생활만족도
1)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2) 혼인이주자에 대한 태도
3) 혼인이주자의 차별경험
4) 혼인이주자의 생활만족도
2. 혼인이주자의 사회참여
1) 취업상태와 경제활동
2) 사회활동
3) 국적취득과 정치참여
3. 혼인이주자의 사회문화적 적응
1) 사회적 자본과 연결망
2) 문화정체성과 적응 유형
3) 출산수준
4) 자녀교육
5) 연구문제
제6장 혼인이주자의 사회적 적응과 그 유형의 분석
1. 자료, 분석대상과 분석틀
1) 자료와 분석대상
2) 분석틀과 주요 변수
2. 혼인이주자의 연결망 및 사회활동
1) 친척과 친구의 연결망
2) 사회활동의 특성과 참여수준
3. 혼인이주자의 연결망 크기 및 위세
1) 연결망의 크기
2) 연결망의 위세
4. 사회활동 및 연결망의 회귀분석
1) 사회활동 참여의 인과구조
2) 연결망의 크기 및 위세의 인과구조
5. 혼인이주자의 적응 유형
1) 네 가지 적응 유형의 범주화
2) 외국인 아내의 적응 유형별 특성
6.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력
1) 자료와 분석대상
2) 사회적 자본과 출산력
3) 외국인 아내의 지위와 출산력
4) 사회적 자본, 이주 후 적응 유형과 출산력
제7장 요약 및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