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219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219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노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모바일 기기의 활용 방안을 살펴보고, 고령자의 삶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여 실제 노인에게 적합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서비스 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요인을 제시하고 있다.
요즈음 우리나라의 가정을 보면 비록 같이 살지는 않더라도 대부분 한두 분 이상의 노인들이 계신다. 그리고 우리들도 언젠가는 노인의 세대에 동참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들의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좀 더 나아가 우리들의 노후 생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들이 만들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연구 요약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결과
5)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 노인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경험 요소 파악 및 이론적 모형 개발
2) 노인에게 중요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경험 요소들을 어떻게 실제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Insight 도출
3) 노인을 위한 모바일 경험 요소 파악 및 이론적 모형 개발
4) 모바일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요인들을 어떻게 실제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Insight 도출
5) 모바일 기기를 통해 노인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토타입 개발 및 검증
4. 전반적인 주체의 독창성 및 선행연구와의 비교
제3장 연구의 내용
1. 세부연구 1: 온라인 환경에서 노인의 정보 공유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1) 세부연구 1의 목적 및 내용
2) 세부연구 1의 연구 방법
3) 세부연구 1의 연구 결과
4) 세부연구 1의 결론 및 토의
2. 세부연구 2: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Successful Aging)를 위한 모바일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1) 세부연구 2의 목적 및 범위
2) 세부연구 2의 연구 방법
3) 세부연구 2의 연구 결과
4) 세부연구 2의 결론 및 토의
3. 세부연구 3: 모바일 기기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통한 실증적 연구
1) 세부연구 3의 목적 및 범위
2) 세부연구 3의 연구 방법
3) 세부연구 3의 연구 결과
4) 결론 및 의의
제4장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 연구바탕 논문발표
2) 수업 진행(실라버스 및 발표자료)
3) 전문가 초청 워크숍(발표자료, 요약 회의록)
4) 학술대회 발표 및 강연
제5장 결론
부록: 연구 진행 결과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