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151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151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베이비부머의 두 번째 인생을 위한 해법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 은퇴를 논하다!
730만 베이비부머(baby boomer, 1955~1963년생)는 이전 시니어 세대와 확연히 구분될 정도로 학력 수준이 높고 오랜 기간 동안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활동해왔다. 그러나 은퇴를 코앞에 두고 있는 이들 중 ‘노후 안전지대’에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100세 시대, 앞으로 갈 길이 먼 이들은 과연 은퇴 후 삶을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까?
통계청에 따르면, 2050년이 되면 국내 인구의 41%가 노인이 될 것이라고 한다. 또 현재 노동력의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어, 2000년에 50세 이상 노동력의 비중은 약 25%미만이었던 반면 2050년에는 그 비율이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는 현재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단계에 서 있는 베이비부머들이 사실은 ‘퇴장’이 아니라 ‘재진입’해야 함을 의미한다. 자식에게 노후를 의탁하던 이전 세대와 달리 스스로 노후를 책임져야 하는 것도 이유 중 하나다. 그럼, 오직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은퇴 후에도 일을 계속해야 한다는 말인가?
이제 밥벌이가 아니라 ‘꿈’을 위해 살라!
60세에 은퇴해 100세까지 산다고 가정했을 때, 하루 중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수면, 식사, 가사노동 등의 시간을 제외한 여가시간은 160,160시간(11시간×365일×40년)정도. 만약 은퇴 생활을 뒷받침해 줄 경제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이 시간 중에 50% 정도를 소득 활동에 할애해야 한다는 통계가 있다. 그러면 은퇴 후에도 우리에게는 일하며 살아야 할 8만 시간이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이 책에서의 은퇴 후 8만 시간은 ‘밥벌이를 위한 시간’이 아니라 ‘내 꿈을 위해 일해야 할 시간’으로 정의된다.
실제로 만족스러운 은퇴생활을 즐기는 은퇴자들의 삶은 노동과 여가, 교육 활동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대부분 노동강도와 노동시간을 줄여 하루 평균 4~5시간 정도 일한다. 은퇴자금이 부족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정체성을 찾아 재취업을 하거나 새로운 일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자신이 평생 ‘꿈’만 꾸던 삶을 인생 2막에서 실현해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인생 후반전 준비에 대해 ‘꿈을 위해 살라’는 강렬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직업상담 30년, 전문가가 제안하는 최고의 라이프 가이드
저자는 30년 넘게 상담과 직업연구를 병행해오면서 다양한 계층의 상담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책은 저자의 임상 경험에서 추출한 이야기와 명제로, 읽는 내내 독자가 직업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 같은 느낌을 가지고 읽어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4장에서는 인생 후반전에 대한 자신만의 로드맵을 그릴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책에서 제시하는 ‘진로 일기’를 작성하다 보면 어느 새 자신의 인생을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계획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은퇴를 목전에 둔 베이비부머 뿐만 아니라 막연하게라도 은퇴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느끼는 젊은 세대들에게도 최고의 라이프 가이드가 되어 줄 것이다.
인생 2막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생생한 목소리, 그 감동과 깨달음
저자는 은퇴 후 삶을 즐기고 있는 이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기 위해 인생 2막을 멋지게 살고 있는 8인을 만나 인터뷰했다.
은퇴한 지 37년 만에 다시 과거의 직업을 찾아 새로운 삶을 시작한 가수 이장희를 비롯해 누구나 부러워하는 성공한 삶을 뒤로 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한 변호사 윤학, 사회봉사에서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은 한국해비타트 회장 이창식, 은퇴 후 평생 꿈꾸던 일을 통해 최고의 자리에 오른 기타 제작가 최동수, 소자본 창업으로 미래를 개척한 요리사 오시환, 죽음을 준비하도록 도와주는 웰다잉 전문가 이정옥, 자전거 여행가 차백성, 숲 해설가 양경모 등, 자신의 철학에 따라 다양한 직업과 각기 다른 라이프 스타일로 은퇴 후 삶을 꾸려가고 있는 이들이다.
우리는 이들의 삶을 통해 은퇴 후의 삶을 어떻게 꾸려가야 하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다양한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는 한결같았다. 바로 ‘꿈으로 벅차오르는, 가슴 뛰는 삶’을 살라는 것이다. 이들의 진솔한 이야기는 우리에게 감동과 교훈, 희망을 전해주기에 충분하다.
목차
PART 01 우리는 연출자였다
01 무대 뒤, 막이 내렸다
02 인생의 갈림길에 서 있다면
03 불안의 어두운 터널을 지나
04 조급증을 넘어 미래 비전으로
05 새로운 현실에 닻을 내리자
06 잃어버린 나를 찾아서
07 은퇴 후 8만 시간, 무엇을 할 것인가
08 8만 시간은 축복인가 재앙인가
PART 02 평생 걱정 없는 60을 위해
01 내가 사는 별은 어디인가
02 의사결정의 함정에서 빠져나와라
03 세상은 바라보기 나름
04 나이의 벽을 허물다
05 소홀했던 가정을 지켜라
06 재산이 없어도 자산은 챙기자
07 건강은 재산목록 1호
08 그래도 가장 큰 자산은 사람이다
09 60의 화려한 비상을 만끽하라
PART 03 8만 시간을 즐기는 사람들
01 은퇴한 지 37년 만에 다시 찾은 꿈 _ 가수 이장희
02 안정에서 불안정으로 이동한다면 _ 변호사 윤학
03 봉사, 삶의 조각 나누기_ 한국 해비타트 이창식 회장
04 첫사랑의 꿈을 찾아서 _ 기타 제작가 최동수
05 창업, 자신의 본성을 찾는 일 _ 요리사 오시환
06 슬픔을 희망으로 _ 웰다잉 전문가 이정옥
07 인생은 꿈을 멈추면 쓰러진다 _ 자전거 여행가 차백성
08 가슴 뛰고, 아이디어가 샘솟는 내 일을 찾아 _ 숲 해설가 양경모
09 그들이 전하는 메시지
PART 04 러닝타임 8만 시간, 인생 각본을 짜다
01 내 삶의 주인공은 나
02 나만의 브랜드를 만들자
03 공부는 내 인생에 대한 투자다
04 나만의 업을 찾아라
05 재취업, 창업, 사회활동의 갈림길에서
06 나를 둘러싼 지원 시스템 구축하기
07 인생 설계도를 작성하라
08 진로 일기로 동력 만들기
PART 05 은퇴자를 위한 십계명
01 말을 많이 하지 말자
02 늙지 말자
03 자신을 괴롭히지 말자
04 삐치지 말자
05 가두지 말자
06 이기려고 하지 말자
07 탐욕 부리지 말자
08 정지하지 말자
09 일하지 말자
10 허울을 좇지 말자
[부록] 은퇴자들을 위한 직종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