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지역경제사회발전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서명/저자사항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지역경제사회발전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허영도, 이달희, 김재홍 저
- 발행사항
- 서울 : 집문당, 2012
- 형태사항
- 379 p. : 삽화, 도표 ; 24 cm
- 총서사항
-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37집
- ISBN
- 9788930315838
- 주기사항
- 부록: 1. 울산지역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시민인식 설문조사, 2. 사례연구: 울산지역 대기업의 CSR 활동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p. 273-300) 및 색인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152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152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1) 연구방법
2) 연구범위
제2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제도화 과정
1. 이론적 배경
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정의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보는 관점
3) CSR의 동기와 기업성과
4) CSR 관련 논쟁점과 CSR의 제도화
2. CSR 최선 관행(Best Practice)과 국제적 표준화
1) CSR 최선 관행
2) 국가경쟁력 CSR: 스웨덴으로부터 배울 점
3) 기업과 사회를 위한 공유가치 창출
4) CSR 국제적 표준화(ISO 26000을 중심으로)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최근 연구의 특징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제3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국제적 규범 및 평가지표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적 규범의 등장과 전개과정
2. 주요 국제기구의 사회적 책임 국제규범과 지표개발 현황
1) UN 및 산하기구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적 규범
2) OECD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적 규범
3) 유럽연합(EU)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규범
4) 사회적 책임 관련 국제 인증기구 및 인증기관의 각종 표준
5) 기타 국제기구 및 단체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규범
3.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화 동향
1) 국제기관의 사회적 책임 관련 국제표준의 영역별 발전과정
2)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화(ISO 26000)의 전개과정과 내용
제4장 우리나라의 사회적 책임 규범 및 지표개발
1. 우리나라의 사회적 책임 규범 및 지표개발 현황
2. 우리나라의 주요 사회적 책임 평가지표와 가이드라인의 내용
1) 경제정의연구소 지표(KEJI Index)
2) KoBEX와 KoBEX SM
3) 전국경제인연합회 윤리경영 자율진단지표(FKI-BEX)
4) BSR 가이드라인(Business Ethics Source of Top Performance Sustainability Report Guideline)
5) ISO 26000 이행수준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3. 우리나라 기업들의 CSR 동향
1) 우리나라 국민들의 CSR에 대한 인식
2) 우리나라 기업의 CSR에 대한 인식 및 CSR 활동 현황
제5장 울산지역 경제사회발전과 지역기업
1. 울산 산업성장과 지역경제
1) 울산 산업의 태동
2) 광역시 승격과 울산 산업의 성장
3) 광역시 승격과 정책기조의 변화
2. 울산 산업현황과 지역경제
1) 울산의 산업여건 및 성장현황
2) 울산의 산업구조 변화 추이
3) 주력산업 지표추이 분석
3. 울산 전략산업의 경쟁력 추이 분석
1)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
2) 전략산업의 주요지표 변화 추이
제6장 울산지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시민의 인식
1. 조사의 개요
1) 조사의 목적
2) 조사의 방법과 표본특성
3) 조사항목의 내용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표의 중요도와 실행도 조사결과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표의 종합지수 시민인식도
2) 사회적 책임의 영역별 시민인식도
3) 사회적 책임의 세부지표별 시민인식도
3. 울산시민의 기업 목적관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의 관계 분석
1) 울산시민의 기업 목적관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 및 행태
2) 울산시민의 기업 목적관과 개인의 행태가 사회적 책임 평가에 미친 영향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 연구결과의 요약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주요 국제적 규범 및 평가지표
4) 한국의 사회적 책임 규범 및 지표
5) 우리나라 기업들의 CSR 동향
6) 울산지역 경제사회발전과 지역기업
7) 사례연구: 울산지역 대기업의 CSR 활동
8) 울산지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시민의 인식
2.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
1) CSR 관련 전국적인 동향과 울산기업
2) 울산기업의 바람직한 CSR 활동방향
3) 바람직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표
4) CSR 관련 시민의 바람직한 자세
5) 기업의 CSR 활동 촉진을 위한 정부정책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