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245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24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이다. 그리고 사회복지는 그러한 목적을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책임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개입은 대부분 조직을 통해 일어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사회복지의 개입이 개인 임상가 위주가 아닌 기관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렇다면 사회복지조직은 사회복지 개입을 통해 그 이용자의 삶의 질을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책임이 있다. 비효과적이고 비효율적인 조직에서는 아무리 열의가 있고 유능한 사회복지사도 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조직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꾸려나가는 작업이 행정이다.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문제의 해결을 통한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을 위하여 조정과 협력을 통해 조직의 목표를 정의하고 성취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 책은 그러한 과정에 대한 책이다. 사회복지행정의 영향은 사회복지조직의 모든 구성원과 그 이해관계자에게 미친다. 이 책을 통하여 사회복지조직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이해가 한 단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이 책은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행정에 필요한 과업들을 중심으로 총 5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사회복지행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2부에서는 정책결정과정의 이해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와 의사결정에 관해 다룬다. 3부는 그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관한 사항들을 소개한다. 4부는 사회복지조직의 동작화에 관한 내용들로 구성된다. 동작화는 조직이 그 목적을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들인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며 정보시스템과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 5부는 환류와 최근 사회복지환경 변화에 대해 다룬다.
목차
●머리말 5
제1부 사회복지행정의 기초
제1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의의 17
1.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필요성 20
2.사회복지행정을 보는 기본관점과 행정과정 26
3.행정과 경영의 관계 34
4.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7
●요약 44
제2장 조직이론과 조직환경 47
1.조직이론 49
2.사회복지조직과 환경 85
●요약 92
제2부 사회복지행정의 정책결정
제3장 조직목표 99
1.조직목표의 의의 101
2.조직목표의 유형 102
3.조직목표의 결정: 정치ㆍ경제적 관점에서의 해석 109
4.조직목표가 서비스 전달에 미치는 영향 112
5.조직목표 변환의 이해 115
●요약 119
제4장 의사결정, 기획, 프로그램 설계 123
1.의사결정의 개념과 방법 125
2.의사결정의 단계 127
3.의사결정의 방법 131
4.기획의 개념과 유형 133
5.목표에 의한 관리 137
6.프로그램 설계 139
●요약 147
제3부 조직화
제5장 사회복지조직과 지역복지 네트워크 153
1.조직화의 원칙 156
2.조직의 주요 구성요소 157
3.효과적인 조직화의 요건 166
4.지역복지 네트워크 169
5.통합적 사례관리 체계 175
●요약 183
제6장 인적자원관리 187
1.인적자원관리의 목적 189
2.직무의 설계 190
3.채용, 신입직원교육, 승진 193
4.직무수행평가 199
5.자원봉사자의 활용 205
6.사회복지사의 소진 206
●요약 210
제7장 재정관리 213
1.재정관리의 의의 215
2.재정자원의 획득 216
3.예산이란 무엇인가? 226
4.재정관리의 과정 236
●요약 245
제4부 동작화
제8장 능력개발 249
1.동기부여 251
2.직원개발 260
3.슈퍼비전 268
●요약 278
제9장 리더십 281
1.리더십의 이론 283
2.리더십의 요소와 기술 298
3.사회복지조직을 위한 새로운 리더십 301
●요약 309
제10장 정보시스템의 개발과 활용 311
1.정보시스템의 유형 314
2.정보시스템과 성과측정: BSC의 활용 317
3.정보시스템의 개발 319
4.정보시스템과 조직문화 324
5.정부 차원에서의 정보시스템 개발 현황 326
●요약 332
제11장 사회복지 홍보와 마케팅 335
1.사회복지조직과 지역사회 홍보 337
2.사회복지조직과 마케팅 340
●요약 366
제5부 환류와 조직발전
제12장 행정평가 371
1.조직평가 374
2.프로그램 평가 382
3.품질관리 394
●요약 400
제13장 환경변화와 조직혁신 403
1.사회복지조직 환경의 변화 405
2.새로운 도전과 조직 혁신 411
●요약 427
●참고문헌 431
●찾아보기 441
●저자소개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