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85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38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서평
<왜 복지국가인가? - 정의의 관점에서>
왜 복지국가인가, 어떤 복지국가인가 등 근본적 물음을 철학적으로 사유한 역작. 누가 우선적인 지원대상자인가,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 등 구체적인 제도와 정책을 어떻게 설계하는 게 더 정의로운가를 제시하는 나침반 같은 안내서이기도 하다. 복지국가 운동가와 연구자, 대학생, 정치인 등 복지국가를 꿈꾸는 이라면 반드시 읽어 보아야 할 책이다.
- 이창곤,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소장
국가가 시민들의 복지에 일정 정도 책임이 있다는 것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고 있지만, '왜' 그런지 그리고 '얼마만큼' 책임이 있는지에 관해서 학술적으로 논의하는 저작은 흔치 않다. 이 책은 복지 정책의 근본적인 규범과 문제를 '분배적 정의'라는 이념으로 다루고 있다. 복지국가와 관련된 철학적, 정책적 이슈들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이 책을 만나는 것은 독자로서 행운이 될 것이다.
- 주동률, 한림대 철학과 교수
복지정책이 현실 문제에 대한 임기응변적 대응이 아니라 공정성과 사회정의와 같은 철학적 가치와 이념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한국사회에 결여되어 있는 것이 늘 아쉬웠다. 이 책은 사회 시스템 수준에서 분배의 공정성이나 정의에 관한 윤리학과 정치철학 논의를 잘 정리하고 있어서, 복지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부족을 채워 줄 수 있을 것이다.
-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최근 복지국가 논의가 사라져 버린 것은 본격적인 논쟁을 이끌어내지 못한 한계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복지국가에 대한 철학의 빈곤과 부재가 원인이다. 이 책은 복지국가의 실용적 경제정책이나 사회정책을 넘어 무엇에 가치를 두고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를 고민하는 개인들의 요구에 응답하고, 바람직한 대안적 국가 모델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이상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복지국가 시민운동을 벌이면서 '왜 복지국가인가?'라는 질문에 종종 '철학의 빈곤'을 느껴왔다. 복지국가가 인류역사의 자산임에도 이에 대한 이해와 통찰이 부족했다. 복지국가를 정당화하는 철학적 뿌리를 전해주는 이 책이 너무 반갑고 고맙다. 복지국가에 대한 생각을 넓혀주고 복지국가 만들기에 힘을 주는 책이다.
-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공동운영위원장
<왜 복지국가인가? - 정의의 관점에서>
왜 복지국가인가, 어떤 복지국가인가 등 근본적 물음을 철학적으로 사유한 역작. 누가 우선적인 지원대상자인가,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 등 구체적인 제도와 정책을 어떻게 설계하는 게 더 정의로운가를 제시하는 나침반 같은 안내서이기도 하다. 복지국가 운동가와 연구자, 대학생, 정치인 등 복지국가를 꿈꾸는 이라면 반드시 읽어 보아야 할 책이다.
- 이창곤,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소장
국가가 시민들의 복지에 일정 정도 책임이 있다는 것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고 있지만, '왜' 그런지 그리고 '얼마만큼' 책임이 있는지에 관해서 학술적으로 논의하는 저작은 흔치 않다. 이 책은 복지 정책의 근본적인 규범과 문제를 '분배적 정의'라는 이념으로 다루고 있다. 복지국가와 관련된 철학적, 정책적 이슈들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이 책을 만나는 것은 독자로서 행운이 될 것이다.
- 주동률, 한림대 철학과 교수
복지정책이 현실 문제에 대한 임기응변적 대응이 아니라 공정성과 사회정의와 같은 철학적 가치와 이념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한국사회에 결여되어 있는 것이 늘 아쉬웠다. 이 책은 사회 시스템 수준에서 분배의 공정성이나 정의에 관한 윤리학과 정치철학 논의를 잘 정리하고 있어서, 복지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부족을 채워 줄 수 있을 것이다.
-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최근 복지국가 논의가 사라져 버린 것은 본격적인 논쟁을 이끌어내지 못한 한계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복지국가에 대한 철학의 빈곤과 부재가 원인이다. 이 책은 복지국가의 실용적 경제정책이나 사회정책을 넘어 무엇에 가치를 두고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를 고민하는 개인들의 요구에 응답하고, 바람직한 대안적 국가 모델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이상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복지국가 시민운동을 벌이면서 '왜 복지국가인가?'라는 질문에 종종 '철학의 빈곤'을 느껴왔다. 복지국가가 인류역사의 자산임에도 이에 대한 이해와 통찰이 부족했다. 복지국가를 정당화하는 철학적 뿌리를 전해주는 이 책이 너무 반갑고 고맙다. 복지국가에 대한 생각을 넓혀주고 복지국가 만들기에 힘을 주는 책이다.
-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공동운영위원장
목차
1부.▼t복지국가의 철학적 기초 --▼n2부.▼t자본주의와 복지국가 --▼n3부.▼t복지국가 설계의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