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질적교육의 이해와 실천을 향하여
- 서명/저자사항
-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 질적교육의 이해와 실천을 향하여/ 서근원 저
- 개인저자
- 서근원
- 발행사항
- 파주 : 교육과학사, 2013
- 형태사항
- 383 p. : 삽도 ; 26 cm
- ISBN
- 9788925407692
- 주기사항
- 부록: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사례 참고문헌(p. 375-379)및 색인 수록 이 책은 2011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서 만들어졌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21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321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제2부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업 보기인 체크리스트에 의한 수업 보기나 필터식 수업 보기 등과 같은 양적인 수업 보기 방법의 특징과 한계가 무엇인지 검토한다.
제3부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적인 수업 보기의 전환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최근 그 대안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질적연구가 무엇인지 등을 살펴본다.
제4부에서는 최근 기존의 양적인 수업 보기의 대안으로서 질적연구 방법을 응용한 수업 보기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거기에는 어떤 가능성과 한계가 있는지 검토한다.
제5부에서는 기존의 수업 보기의 대안으로서 우리나라에서 등장한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그것은 어떤 문제의식의 해결 과정을 통해서 탄생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어떤 절차에 따라서 이루어지는지 알아본다. 특히 여기에는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과정을 안내하기 위해서 개설된 워크숍 연수 과정에 참여한 어느 교사의 체험이 함께 소개된다. 그와 함께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가 우리 학교 현실에서 어떤 의미가 있으며, 그것이 대안적인 수업 보기로서 자리잡기 위해서는 앞으로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가 하는지 제시한다.
제6부에서는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사례 가운데 하나로서 수업 컨설팅의 방안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서 최근에 수업장학의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수업 컨설팅이 본래 의미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충실하게 살리려면 수업 컨설팅이 어떤 절차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간략히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부록에서는 교육인류학이 제시하는 수업 이해하기 방법, 즉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에 따라서 수업을 이해한 결과를 정리하여 보고서로 작성한 사례를 제시한다.
그런데 나는 이 책에서 이상의 논의를 충분히 만족스럽게 전개하지는 못했다. 이 책에 실린 글 가운데 일부는 지난날 내가 다른 곳에서 발표했거나 강의 자료로 사용했던 것들이다. 이 책에서 나는 각각의 글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일부 내용을 삭제하거나 추가하여 새로 썼다. 그래도 여전히 연결이 매끄럽지 못하고, 일부 내용은 반복되기도 한다. 내가 이상의 논의를 좀 더 설득력 있게 하려면 처음부터 새로 글을 썼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태대로 책을 내는 까닭은 각각의 글들이 나름대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그 글들을 한 데 모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편, 나는 이 책에서 기존의 여러 수업 보기 방법을 검토하면서 해석학적 수업 보기 방법, 사회학의 민속방법론과 상호작용론, 그리고 일상생활기술법 등에 의한 수업 보기 방법 등은 검토하지 못했다. 그 방법들은 현장의 교사들이 관심을 가지기에는 아직 거리가 멀고, 이 책의 문제의식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근 일부 교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도 검토하지 않았다. 그것은 수업을 보는 방법이라기보다는 수업에 관한 교사의 생각을 보는 방법이며, 수업과 관련된 교사의 생각은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응용할 경우에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그대로 유지한 가운데 교사들 벼리로 삼아서 수업을 보면 “교사 눈으로 수업 보기”가 되며, 그 경우에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교사의 관점과 교사의 눈에 비친 수업을 볼 수 있게 된다.
목차
머리말: 수업 개선과 수업 보기3
제1부 교육의 질적 전환
제1장 학교 교육의 문제19
1. 문제의 인식19
2.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24
3. 문제의 기원27
제2장 질적교육의 모색33
1. 교민(敎民)과 회인(誨人)33
2. ‘배우다’와 ‘깨치다(깨닫다)’37
3. 질적교육39
제3장 질적교육의 실현41
1. 질적교육의 실현을 위한 조건41
2. 질적교육과 사회(司誨)44
3. 사회(司誨) 되기47
4. 학생의 눈 갖기51
제4장 수업 보기의 중요성55
1. Plan-Do-See55
2. See-Plan-Do!56
제2부 양적관찰과 분석
제5장 체크리스트 관찰법65
1. 체크리스트65
2. 체크리스트 관찰법의 의의68
3. 체크리스트 관찰법의 한계69
제6장 선별적 관찰법79
1. 필터식 수업 관찰80
2. 좌석표를 이용한 수업 관찰87
3. 행동 관찰90
4. 언어상호작용 관찰92
5. 수업 분위기 관찰96
6. 선별적 관찰법의 의의와 한계99
제3부 대안적 수업 보기의 모색
제7장 수업 보기의 전환105
1. 관점의 전환: 학생의 관점106
2. 방법의 전환: 질적연구109
제8장 질적연구와 질적 수업 보기115
1. 질적연구의 방법(method)116
2. 질적연구의 기법(technique)118
3. 질적연구의 방법론(methodology)120
4. 질적연구의 과정125
5. 질적연구의 의미와 의의 130
6. 질적 수업 보기의 두 유형: 질적 기법과 질적 방법133
제4부 질적 기법에 의한 수업 보기: 관찰자 관점
제9장 과학적 관찰과 분석137
1. 일화관찰과 해석의 자의성137
2. 과학적 수업 연구143
3. 문화인류학적 수업 연구165
제10장 수업 비평181
1. 수업 비평의 태동181
2. 수업 비평의 전개183
3. 수업 비평의 방법과 절차 (1)187
4. 수업 비평의 방법과 절차 (2)191
5. 수업 비평의 의의와 한계196
제11장 체크리스트로의 회귀201
1. 수업의 총체성과 수업 비평의 다양성201
2. 구성주의 수업 비평203
3. 배움의 공동체 수업 비평206
제5부 질적 방법에 의한 수업 보기: 학생의 관점
제12장 교육인류학과 이해(under-stand)211
1. 수업 평가의 극복211
2. 두 가지 교육인류학212
3. 타인의 눈으로 보기215
제13장 수업 이해 방법 탐구217
1. 교육인류학의 문제의식217
2. 교육적 이해220
3. 교사의 경험223
4. 구조적 접근228
5. 타인의 관점232
6.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233
제14장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245
1. 수업 이해와 수업 개선245
2.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개요250
3.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워크숍255
제15장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절차259
1. 자기 문제의식 확인259
2. 수업의 맥락과 상황 파악261
3. 벼리 선정과 선 이해 파악262
4. 수업 관찰 기록263
5. 수업 기록 검토266
6. 수업 과정 분석266
7. 공통 수업 과정 구성269
8. 상황 구분과 경험 추론 270
9. 수업 구조 분석271
10. 주제 대화274
11. 대화 결과 교환277
12. 보고서 작성과 또 다른 대화 시도278
제16장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의의281
1. 관점의 전환281
2. 교사의 역량 전환285
3. 학교의 문화 변혁287
4.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미래와 과제289
제6부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활용
제17장 수업 컨설팅과 수업 보기295
1. 수업 컨설팅의 등장 배경295
2. 수업 컨설팅의 의미297
3. 수업 컨설팅의 일반적인 원리299
4. 수업 컨설팅과 수업장학의 차이302
5. 수업 컨설팅의 일반적인 절차304
6. 수업 컨설팅에서 수업 보기의 위치와 중요성 307
제18장 질적교육을 위한 수업 컨설팅 방안309
1. 질적교육이 추구하는 것309
2. 질적교육과 수업 컨설팅310
3. 컨설턴트의 요건과 유의 사항311
4. 수업 컨설팅 절차 (컨설턴트를 중심으로)312
5. 수업 컨설팅 자료319
부록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사례
부록 1. 행복을 찾아서329
부록 2. 나를 찾아가는 길355
참고문헌375
찾아보기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