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한국수출입은행 북한개발연구센터 총서 1

북한개발과 국제협력

서명/저자사항
북한개발과 국제협력/ 한국수출입은행 북한개발연구센터 편
단체저자
한국수출입은행 북한개발연구센터
발행사항
서울 : 오름, 2014
형태사항
280 p. : 삽화 ; 23 cm
ISBN
9788977784321
주기사항
색인수록 필자: 김중호, 맹준호, 윤덕룡,이종운, 장형수, 최창용 참고문헌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484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48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북한개발은 지구상의 유일한 외딴섬으로 남아 있는 북한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편입시키는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가 함께 지원할 의무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동북아시아의 번영이라는 외교적·경제적 실익의 차원에서도 국제사회의 지원 필요성이 있다.
-머리말 중에서

북한이 이미 시도했거나 또는 시도하려고 하는 경제조치들이 효과를 거두는 비결은 다름 아닌 국제사회로부터의 지원을 과감히 수용하는 것뿐이다. 왜냐하면 국제지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침체된 북한경제의 전환점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장 중에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북한개발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 방향과 과제 (장형수)
Ⅰ. 북한개발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방향
Ⅱ. 북한개발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과제

제2장 국제사회의 북한개발지원 동향과 정책과제 (맹준호)
Ⅰ. 서론
Ⅱ. 국내외 북한개발지원의 시기별 변화과정
Ⅲ. 북한개발지원의 특징
Ⅳ. 국제협력을 위한 정책과제
Ⅴ. 결론

제3장 북한의 경제개발 실태와 국제개발지원 수용 가능성 (김중호)
Ⅰ. 서론
Ⅱ. 김정일 정권의 경제개발 정책 특징
Ⅲ. 김정은 정권의 경제개발 정책 특징
Ⅳ. 북한의 국제개발지원 수용 현황과 과제
Ⅴ. 결론

제4장 국제금융기구의 개발지원 메커니즘과 북한개발지원 (장형수)
Ⅰ. 서론: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의 개념과 중요성
Ⅱ. 국제금융기구의 개발지원 메커니즘
Ⅲ.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 및 재원조달 여건
Ⅳ. 다자간 개발금융의 진화
Ⅴ. 가칭 동북아개발은행(안) 설립 논의의 방향
Ⅵ. 결론: 북한개발에 주는 시사점

제5장 신탁기금을 활용한 북한개발지원 방안 (이종운)
Ⅰ. 서론
Ⅱ. 다자간 신탁기금의 국제적 운영 현황
Ⅲ. 북한개발지원을 위한 신탁기금 설립의 필요성
Ⅳ. 북한개발 신탁기금의 설립과 운영
Ⅴ. 결론

제6장 EBRD의 체제전환 지원과 대북 지원 시사점 (윤덕룡)
Ⅰ. 서론
Ⅱ. EBRD의 설립과 지금까지의 주요 성과
Ⅲ. EBRD의 역할과 지원의 특징
Ⅳ. EBRD의 체제전환 관리와 평가시스템
Ⅴ. 결론: EBRD의 체제전환국가 지원이 북한지원에 주는 시사점

제7장 북한 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 과제 (최창용)
Ⅰ. 서론
Ⅱ. 북한개발지원의 대내외 환경
Ⅲ. 개발역량 강화와 국제협력
Ⅳ. 북한 경제부문 개혁과 역량 강화
Ⅴ. 결론: 북한개발협력의 전망과 과제

제8장 북한개발지원을 위한 금융협력 과제와 한국의 역할 (맹준호)
Ⅰ. 서론
Ⅱ. 체제전환국 사례 비교
Ⅲ. 북한의 개발전략 선택과 금융협력
Ⅳ. 국제금융기구를 통한 신탁기금 활용
Ⅴ. 북한개발지원 모색을 위한 우리정부의 역할
Ⅵ. 결론

제9장 결론: 새로운 한반도 건설을 위하여 (김중호)


색인
필자 소개(가나다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