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수시) 2014-09

사회대타협을 위한 사회협약 국제사례 연구와 시사점: 사회협약 창출능력을 중심으로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Social Pacts Cases for Korean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서명/저자사항
사회대타협을 위한 사회협약 국제사례 연구와 시사점: 사회협약 창출능력을 중심으로/ 유근춘, 최연혁, 정병기, 김종법, 이호근, 국중호, 김선희
대등서명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Social Pacts Cases for Korean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발행사항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형태사항
370p. :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수시) 2014-09
ISBN
9788968271335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44106대출가능-
자료실EM04410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441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4410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사회대타협 창출능력
제1절 서론
제2절 사회에서의인간의 행위와 자유
제3절 자유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순간
제4절 사회대타협 창출능력의 실현조건
제5절 소결

제3절 스웨덴의 사회협약 전통과 사회협약 창출능력
제1절 서론
제2절 스웨덴 사회협약 방식의 특징
제3절 스웨덴 정치문화의 형성과 발전과정
제4절 조합주의적 타협방시고가 주체세력
제5절 토론
제6절 소결

제4장 네덜란드의 사회협약 창출능력 사례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주요개념: 코포라티즘과 사회협약
제3절 네덜란드 사회협약의 역사적 변천
제4절 사회 코포라티즘적 사회협약 정치 창출의 조건과 배경
제5절 네덜란드 사회협약 정치의 전환 및 운영과 성과
제6절 소결

제5장 이탈리아: 사회협약 모델의 제도와 환경
제1절 서론: 이탈리아 사회협약 모델의 기반과 배경
제2절 이탈리아의 사회적 협약의 이론적 배경과 정치적 의미
제3절 이탈리아 사회협약 모델의 한국적 함의와 가능성

제6장 독일의 사회협약 창출능력 사례연구
제1절 독일의 사회협약 체제의 발전과 현황
제2절 독일의사회협약 창출 능력의 주요 요소
제3절 경제위기시 독일 사회협약 체제의 협약창출 능력
제4절 비스마르크형 '배제적 복지국가(Exclusive welfare state)' 모델의 도전과 과제
제5절 소결

제7장 일본의 사회협약 창출능력 사례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노동조합과 노동시장의 2중 구조
제3절 임금결정 사회협약
제4절 정노사(政勞使) 회의에서의 각계의 발언
제5절 정노사(政勞使) 회의와 사회협약 창출과정
제6절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