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방전후사의 인식. 5: 북한의 혁명전통, 인민정권의 수립과 반제반봉건민주주의 혁명과정
- 서명/저자사항
- 해방전후사의 인식. 5, 북한의 혁명전통, 인민정권의 수립과 반제반봉건민주주의 혁명과정/ 김남식, 이종석, 김주환, 김용복, 박재권, 박현선, 임진영, 안나 루이스 스트롱
- 발행사항
- 서울 : 한길사, 2013
- 형태사항
- 540 p. : 삽화 ; 22 cm
- ISBN
- 9788935600045
- 주기사항
- 표제관련정보: 북한의 혁명전통, 인민정권의 수립과 반제반봉건민주주의 혁명과정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4514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451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백기완, 송건호를 비롯한 열두 명의 집필자들이 해방에서 분단으로 이어지는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주요 사건들과 인물들을 추적함으로써 분단의 배경을 밝힌다.
목차
1권
1. 해방의 민족사적 인식 /송건호
미군정의 정치사적 인식 /진덕규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진덕규
2. 반민특위의 활동과 와해 /오익환
일제 말 친일 군상의 실태 /임종국
3. 김구의 사상과 행동의 재조명 /백기완
이승만 노선의 재검토 /김도현
8.15를 전후한 여운형의 정치활동 /이동화
4. 해방 후 농지개혁의 전개 과정과 성격 /유인호
미군정 경제의 역사적 성격 /이종훈
5. 소설을 통해 본 해방 직후의 사회상 /염무웅
해방 후 한국 문학의 양상 /임헌영
2권
4반세기만에 <해방전후사의 인식>을 다시 펴내면서 /김언호
해방전후사 인식의 방향 /강만길
1. 8·15 직후 정치 지도자들의 노선비교 /김광식
박헌영과 8월테제 /김남식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임종국
2. 남북분단의 민족경제사적 위치 /박현채
미군정하 농업과 토지개혁정책 /황한식
농지개혁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장상환
9월 총파업과 노동운동의 전환 /성한표
3. 해방직후 지식인의 민족현실 인식/임헌영
해방공간의 문학 /김윤식
미군정의 교육정책 /이광호
찾아보기
3권
해방후 정치·사회운동을 보는 시각 /박현채
1. 8·15 직후 민주주의 논쟁 /여현덕
해방후 좌익운동과 민주주의민족전선 /양동주
조선공산당과 3당 합당 /김남식
미군정기 국가기구의 형성과 성격 /안진
한반도 신탁통치 문제 1943~46 /이완범)
2. 미군정기 노동운동과 전평의 운동노선 /김태승
미군정기 농민운동과 전농의 운동노선 /박혜숙
전남지방 정치와 여순사건 /황남준
3. 미군정기의 좌우익 문학논쟁 /임헌영
미국의 문화침투와 한국교육 /한준상
4권
1. 해방 8년사의 총체적 인식 /정해구
2. 해방 이후 좌·우익 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류상영
분단의 구조화 과정과 한국전쟁 /김명섭
3. 1948~50년 남한내 빨치산활동의 양상과 성격 /김남식
4·3 민중항쟁의 전개와 성격 /고창훈
4. 1948~53년 문교정책의 이념과 특성 /한준상·정미숙
해방 이후 무장투쟁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임헌영
해방 3년의 미술운동 /최열
해방 직후의 민족영화운동 /이효인
5. 해방전후사 연구 10년의 현황과 자료 /이완범
5권
1. 해방 전후 북한 현대사의 재인식 /김남식
2. 북한 지도집단과 항일무장투쟁 /이종석
3. 서북 5도 당대회의 대미인식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조직적 위상 /김주환
해방 직후 북한 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김용복
해방 후 북한의 인민민주주의혁명과 사회주의혁명 /김주환
4. 해방 직후 소련의 대북한 정책 /박재권
반제반봉건민주주의혁명기의 여성정책 /박현선
해방 직후 민주건설기의 북한문학 /임진영
기행·북한, 1947년 여름 /안나 루이스 스트롱
6권
서론: 해방·분단·한국전쟁의 총체적 인식 /박명림
해방 3년사의 쟁점 /이완범
해방 전후 북한현대사의 쟁점 /김명섭
한국전쟁사의 쟁점 /박명림
해방 전후 사회경제사의 쟁점 /백일
해방 직후 문학 논의의 쟁점 /신형기
<해방전후사의 인식 6>을 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