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주론
- 서명/저자사항
- 군주론/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 ; 강정인, 김경희 [공]옮김
- 판사항
- 제4판
- 개인저자
- 마키아벨리, 니콜로 | Inglese, Giorgio | Machiavelli, Niccolò 1469-1527 | 강정인 | 김경희
- 발행사항
- 서울 : 까치글방 : 까치, 2015.
- 형태사항
- 267 p. : 삽도 ; 23 cm.
- ISBN
- 9788972914440
- 주기사항
- 마키아벨리의 생애와 주요 사건 연표: p. 221-223. 부록: 1. 「군주론」과 관련된 서한들, 2. 「군주론」에 나오는 용어들에 대한 해설, 3. 인명 해설. 원서 편집자: 인글레제. 인명색인: p. 265-267 서지적 각주 수록
- 원서명
- (Il)principe. -- Nuova ed. Principe. -- Nuova ed. Principe. -- Nuova ed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907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390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마키아벨리를 전공하고 이탈리아어에 능숙한 정치학자의 이탈리아어 원전 <군주론> 번역은 중역판만이 존재했던 한국 학계와 출판계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작업이다. 이제 까치글방의 <군주론> 제3판 개역본은 그 기다림에 대한 대답이 될 것이다.
까치글방의 <군주론> 한글 번역본을 이탈리아어 원본을 가지고 개역작업을 하자는 제의를 강정인 교수님으로부터 처음 받았을 때, 주저하는 마음이 없지 않았습니다. 마키아벨리 전공자로서 <군주론>을 언젠가는 이탈리아어 원본으로 번역해보고자 하는 욕심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존 번역본과 이탈리아어 본을 비교하는 작업을 시작하고 나서 저는 이 개역작업에 참여하기를 정말 잘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초판 번역본 역자 후기”와 “제2판 개역본 역자 후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번역본은 한 번의 작업으로 이루어진 번역서가 아닙니다. 많은 시간,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쳐 나온 작품입니다. 물론 강정인 교수님의 역할이 주도적이었습니다. 개역작업을 수행하면서 강정인 교수님과 문지영 박사님 그리고 그 외 여러분들의 노고가 얼마나 값진 것이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군주론> 같은 책은 애정을 가진 많은 사람들의 공동작업 속에서만 그 의미와 가치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제3판 개역본 역자 후기”에서
까치글방의 <군주론>은 1994년 초판에 이어 2003년 제2판 개역본을 출판하기까지 다수의 정치학자들이 번역작업에 참여했지만, 중역(重譯)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번에 발간한 제3판 개역본은 무엇보다도 마키아벨리를 전공한 전공자가 이탈리아어 원본을 가지고 번역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목차
<군주론>의 이해를 위한 지도 | 3
<군주론>의 이해를 위한 당대의 이탈리아 역사 개관 | 5
헌정사 :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 11
제1장 _ 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법들 13
제2장 _ 세습 군주국 15
제3장 _ 복합 군주국 17
제4장 _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했던 다리우스 왕국은 왜 대왕이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33
제5장 _ 점령되기 이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도시나
군주국을 다스리는 방법 38
제6장 _ 자신의 무력과 역량에 의해서 얻게 된 신생 군주국 41
제7장 _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얻게 된 신생 군주국 47
제8장 _ 사악한 방법을 사용하여 군주가 된 인물들 60
제9장 _ 시민형 군주국 68
제10장 _ 군주국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74
제11장 _ 교회형 군주국 78
제12장 _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 83
제13장 _ 원군, 혼성군, 자국군 80
제14장 _ 군주는 군무에 관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100
제15장 _ 사람들이, 특히 군주가 칭송받거나 비난받는 일들 105
제16장 _ 관후함과 인색함 108
제17장 _ 잔인함과 인자함, 그리고 사랑을 느끼게 하는 것과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중 어느 편이 더 나은가 112
제18장 _ 군주는 어디까지 약속을 지켜야 하는가 118
제19장 _ 경멸과 미움은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 123
제20장 _ 요새 구축 등 군주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많은 일들은 과연
유용한가 아니면 유해한가 139
제21장 _ 군주는 명성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146
제22장 _ 군주의 측근 신하들 152
제23장 _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155
제24장 _ 어떻게 해서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나라를 잃게 되었는가 159
제25장 _ 운명은 인간사에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운명에 대처해야 하는가 162
제26장 _ 야만족의 지배로부터 이탈리아의 해방을 위한 호소 168
부록 1 <군주론>과 관련된 서한들 | 175
부록 2 <군주론>의 이해를 위한 당대의 이탈리아 역사 개관 | 186
부록 3 인명 해설 | 195
부록 4 마키아벨리의 생애와 주요 사건 연표 | 221
제3판 개역본 해제 | 225
초판 번역본 해제 | 235
제3판 개역본 역자 후기 | 251
제2판 개역본 역자 후기 | 255
초판 번역본 역자 후기 | 257
인명 색인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