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15-21-02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

Child Birth, and Child Rearing and Its Policy Implications

서명/저자사항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 이소영, 김은정, 조성호, 최인선
대등서명
Child Birth, and Child Rearing and Its Policy Implications
발행사항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형태사항
275p. :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5-21-02
ISBN
9788968272653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44973대출가능-
자료실EM04497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449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4497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형평성의 개념
제1절 형평성의 일반적인 개념
제2절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형평성
제3절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

제3장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현황과 문제점
제2절 양육지원 인프라의 현황과 문제점

제4장 해외사례
제1절 미국
제2절 영국
제3절 일본
제4절 소결

제5장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형평성
제1절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수요
제2절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공급
제3절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접근성
제4절 임신ㆍ출산 인프라의 이용도

제6장 양육지원 인프라의 형평성
제1절 양육지원 인프라 수요
제2절 양육지원 인프라 공급
제3절 양육지원 인프라 접근성
제4절 양육지원 인프라의 이용도

제7장 임신ㆍ출산 및 양육지원 인프라 이용자 조사
제1절 조사 방법
제2절 임신ㆍ출산 인프라 이용 현황
제3절 양육지원 인프라 이용 현황
제4절 인프라 이용경험: 초점집단면접(FGI) 결과

제8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임신ㆍ출산 및 영아기 자녀 양육 인프라 이용자 조사
부록 2 임신ㆍ출산 인프라 현황
부록 3 양육 인프라 현황
부록 4 수도권 육아종합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