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북한이탈주민의 삶 들여다보기
- 서명/저자사항
- 북한이탈주민의 삶 들여다보기/ 김현경 지음
- 개인저자
- 김현경
- 발행사항
-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2
- 형태사항
- 198 p. ; 23 cm
- ISBN
- 9788926836309
- 주기사항
-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445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44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남한으로 입국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숫자는 매해 거의 3천여 명에 이르고 있다. 그들의 남한 입국 이전의 경험은 과히 인권유린에 이르고 있기에 북한이탈주민의 인권문제 역시 심각하게 대두대고 있는 현실이다.
이 책에서는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염두에 두면서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게 되는 삶을 트라우마와 치유, 탄력성, 정보체계 활용, 변화된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이라는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은 다문화가족지원법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을 영토적 개념에서 여전히 대한민국국민의 일부로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북한이탈주민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 책에서는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염두에 두면서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게 되는 삶을 트라우마와 치유, 탄력성, 정보체계 활용, 변화된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이라는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은 다문화가족지원법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을 영토적 개념에서 여전히 대한민국국민의 일부로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북한이탈주민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서문
Ⅰ. 북한이탈주민의 트라우마(Trauma)와 치유:
북한에서의 고문 후유증을 중심으로
Ⅱ.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과 탄력성 발휘:
북한이탈여성의 삶을 중심으로
Ⅲ. 남한 입국 이후 적응과정으로서의 정보체계 활용: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Ⅳ. 남한 입국 이후 적응과정으로서의 정보체계 활용:
성인기를 중심으로
Ⅴ. 북한이탈주민지원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Ⅵ.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