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6731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673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하지만 환자안전과 관련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사건 발생과 관련된 의료인의 잘못을 찾고 시정하는 것만으로 환자안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까? 2010년 빈크리스틴 투약오류로 백혈병 치료를 받던 아이가 사망한, 일명 종현이 사건이 뉴스에도 보고되고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지만 2012년에도 같은 유형의 투약오류 사건이 발생하여 환자가 사망하였다. 이 사건뿐만 아니라 의료분쟁 사례들을 살펴보다 보면 유사한 사건들이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안전의 향상을 위해서는 의료인의 잘못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사한 사건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라는 고민 속에서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 제시’ 연구가 시작되었다. 연구 시작 당시 활용 가능하였던 의료소송 판결문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해당 사례의 원인을 분석하고, 원인별 재발방지대책을 주체별로 제시하는 연구를 2014년부터 시작하였다. 2014년에는 내과, 외과, 산부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의료소송 판결문을 활용하여 환자안전의 향상을 위한 연구(‘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재발방지 대책 수립 연구’)를 수행하였고, 현재는 의료행위별로 분류하여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 제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에서는 그동안 의료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1999년 ‘산부인과 관련 판례 분석 연구’를 시작으로 ‘의료분쟁조정제도 실행방안 연구’,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실행방안 연구’, ‘의료사고 예방체계 구축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의료사고 및 의료소송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각도로 바라보았다. 이와 같이 의료분쟁의 해결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의료체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제안에도 힘써왔다. 연구뿐만 아니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및 보건대학원에서 의료소송 판례 분석과 관련된 강의들을 개설하여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촉구하였다. 또한 환자안전 및 환자안전법 관련 연구를 수행하면서 환자안전법 제정 및 환자안전 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였다.
2015년 1월 제정된 환자안전법이 시행되고,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 구축 및 운영 초기 단계이다.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건을 외부에 공개하고 보고하기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의미있는 분석 및 연구가 가능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미 수집되어 있는 의료분쟁 및 의료소송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해당 연구들이 환자안전법 및 보고학습시스템의 원활한 시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사고 또는 의료분쟁과 관련하여 여러 사례들을 소개하는 서적이 출판되었으나, 환자안전의 향상을 위해 의료소송 사례를 활용해 원인분석 및 환자.의료인.의료기관.법제도 측면에서의 재발방지 대책을 제시하는 서적은 없었다. 또한 이 책에서 제시된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각 분야별 의료인 및 보건의료계열 학생들은 임상에서 발생 가능한 의료사고들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고, 예방을 위해 지켜야 할 사항들을 숙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응급의료는 응급성과 긴급성이 높은 의료행위이며, 응급의료가 가진 여러 가지 특성들을 고려하였을 때 환자안전의 향상을 위하여 제도 측면에서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의료판례 분석 저서 시리즈의 첫 번째 저서로 응급의료 판례 분석을 선정하였다. 추후 순차적으로 내과, 외과, 산부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마취 관련 행위 등의 서적들이 시리즈로 출판된 예정이다. 이 책들이 우리나라 환자안전 향상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며, 제도의 개선을 통해 환자와 의료인 모두가 안전한 의료환경이 조성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3
제2장 진단 지연 또는 진단 미비 관련 판례 9
판례 1. 급성 심근경색증 진단 및 치료 지연으로 인한 사망 사건 _ 서울고등법원 2013. 12. 5. 선고 2012나42170 판결_9
판례 2. 심장질환 감별 검사 미실시 및 경과관찰 소홀로 인한 사망 사건 _창원지방법원 밀양지원 2011. 9. 9. 선고 2010가합322 판결_23
판례 3. 상복부 통증 호소 환자의 진단 미비로 인한 사망 사건 _ 대구지방법원 2013. 11. 21. 선고 2013가합5620 판결_33
판례 4. 어지럼증 원인 분별 검사 미시행 과실로 인한 사망 사건 1 _ 춘천지방법원 2014. 5. 14. 선고 2012가합1641 판결_42
판례 5. 어지럼증 원인 분별 검사 미시행 과실로 인한 사망 사건 2 _ 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1. 20. 선고 2010가단312390 판결_50
판례 6. 교통사고환자 대퇴동맥 손상 여부 및 지혈조치 미시행으로 인한 하지 절단 사건 _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2013. 9. 27. 선고 2012가합4961 판결_55
판례 7. 토혈 원인 파악 및 적절한 치료 미시행으로 인한 식물인간 상태 발생 사건 _ 서울고등법원 2013. 1. 17. 선고 2012나11305 판결_69
제3장 부적절한 처치 또는 처치 지연 관련 판례 85
판례 8. 저혈량성 쇼크에 대한 부적절한 처치로 사망한 사건 _ 서울고등법원 2014. 5. 15. 선고 2012나18559 판결_85
판례 9. 교통사고 환자 기도유지 조치 미실시로 인한 사망 사건 _ 대구지방법원 2013. 9. 27. 선고 2011가단64222 판결_96
판례 10. 유기인제 중독 해독제 투여 등의 처치 지연으로 인한 사망 사건 _ 광주지방법원 2014. 8. 14. 선고 2013가합11593 판결_105
판례 11. 모유수유 중 채혈로 인해 뇌손상이 발생한 사건 _ 서울서부지방법원 2012. 2. 10. 선고 2010가합6956 판결_120
제4장 경과관찰 관련 판례 131
판례 12. 기도폐쇄 예방적 조치 미시행 및 경과관찰 미흡으로 사망한 사건 _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4. 22. 선고 2012가합87909 판결_131
판례 13. 조직검사 후 경과관찰 및 저혈량성 쇼크 대비 미흡으로 사망한 사건 _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2013. 1. 17. 선고 2010가합6296 판결_145
판례 14. 풍선탐폰법 시행 후 경과관찰 소홀로 인한 저산소성 뇌손상 발생 사건 _ 서울중앙지방법원 2013. 9. 11. 선고 2012가합505315 판결_156
제5장 전원 관련 판례 169
판례 15. 심근경색 환자 전원의무 위반으로 인한 사망 사건 _ 수원지방법원 2014. 11. 7. 선고 2014나11243 판결_169
판례 16. 심근효소 검사 미실시 및 전원의무 위반으로 인한 사망 사건 _ 부산지방법원 2013. 1. 30. 선고 2011가합10672 판결_181
판례 17. 농약 음독 환자 전원의무 위반으로 사망에 이른 사건 _ 의정부지방법원 2012. 8. 29. 선고 2010가합7758 판결_196
판례 18. 과다한 전원조치로 인해 뇌출혈 및 사지마비 발생 사건 _ 대구지방법원 2013. 12. 12. 선고 2011가합3989 판결_207
제6장 기 타 233
판례 19. 낙상으로 인한 사망 사건 _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 5. 15. 선고 2011가합41920 판결_233
판례 20. 응급실 당직의 부재로 인한 사망 사건 _ 광주지방법원 2011. 10. 13. 선고 2010가합10803 판결_245
제7장 결 론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