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세미오시스 학술총서 11

소셜 미디어 속의 기호적 실천과 담론

서명/저자사항
소셜 미디어 속의 기호적 실천과 담론/ 세미오시스 연구센터, 고경난, 고슬기, 서종석, 안미경, 윤재연, 이도영, 조창연
발행사항
서울 : HU:INE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2019
형태사항
310 p. : 삽화 ; 23 cm
ISBN
9788974648312 (세트) 9791159016066
주기사항
HU:INE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의 어학도서, 사회과학도서, 지역학 도서 Sub Brand임 참고문헌 수록 2010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학국(HK)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0-361-A0001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979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979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소셜 미디어 속의 기호적 실천과 담론

21세기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는 흔히 ‘소셜 미디어’로 압축된다. 미디어 세미오시스에 대한 탐구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도 마땅히 눈을 돌려야 할 것이다. 소셜 미디어는 다양한 인터넷 플랫폼, 가령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이나 토론방, 블로그, 미니블로그, 사회관계망 서비스, 미디어 공유 사이트,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한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는 단순히 개인과 개인 사이의 사적인 소통만을 위한 매체도 아니고, 신문, 방송과 같은 공적인 대중매체도 아니다.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개인성과 공공성 사이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집단 사회성’을 띨 수 있는 매체라고 할 수 있겠다. <세미오시스 학술총서>의 열한 번째 책 『소셜 미디어 속의 기호적 실천과 담론』에서는 그러한 측면을 세미오시스의 관점에서 성찰해 본다. 소셜 미디어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대체로 실용적 목적을 크게 고려하는 정보과학, 커뮤니케이션학, 마케팅 관련 분야 등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문학적 성찰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균형을 잡아 줄 시각이 기호학, 언어학, 문학, 철학, 인류학, 예술학 등 인문학에서 나오게 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을 내놓는다.
목차

머리말 _ 3

제 1 장 매체기호학의 관점에서 본 소셜 미디어의 세미오시스 ·· 15
조창연

제 2 장 서사문학에 나타난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정체성 발현 양상 ················································ 59
고슬기

제 3 장 모바일 시대 경험으로서의 언어, 이모티콘 ··············· 109
안미경

제 4 장 이모티콘의 기호적 특성과 의사소통 기능 ·············· 147
- 카카오톡 문자 대화를 중심으로
이도영

제 5 장 소셜 미디어 시대, 바이럴 광고 ······························ 191
- 유튜브 동영상 광고를 중심으로
윤재연

제 6 장 소셜 미디어와 색의 미디어화 ······························· 239
- 화장품 산업을 중심으로
고경난

제 7 장 #foodporn, 혹은 현대 식자(食者)의 초상 ················ 267
서종석

필자 소개 _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