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목표와 정책 수단의 적절성 평가: 저출산 정책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of Policy Objectives- Instruments in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 서명/저자사항
- 정책목표와 정책 수단의 적절성 평가: 저출산 정책을 중심으로/ 김영록, 신동면
- 대등서명
-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of Policy Objectives- Instruments in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xxx, 462p. : 도표 ; 26cm
- 총서사항
- KIPA 연구보고서 2016-29
- ISBN
- 9788957046517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7062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706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 범위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저출산 정책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와 정책체계 분석틀
제1절 저출산 현상과 원인
1. OECD 국가의 저출산 현상과 국가 간 차이
2. 저출산 원인에 대한 이론
제2절 저출산 정책의 정책 목표와 정책 수단
1. 정책 목표
2. 정책 수단
제3절 저출산 정책 효과성에 관한 선행 연구
1. 저출산 정책과 가족정책
2. 가족정책 지출과 합계출산율
3. 가족정책의 출산 효과성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4. 한국의 저출산 정책에 관한 선행 연구
제4절 저출산 정책의 정책체계 평가를 위한 분석틀
1. 정책 목표 - 정책 수단의 합리성 평가
2. 정책 수단의 특성 평가
3. 성과 및 예산 평가
제3장 한국의 저출산 문제와 저출산 정책의 발전
제1절 저출산의 원인
1.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미혼과 만혼의 증가
2. 자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3. 자녀 양육비 부담
4.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일·가정양립의 어려움
5. 가정 내 불공평한 남녀 역할
제2절 중앙정부 저출산 정책의 발전
1. 산아제한정책에서 출산장려정책으로
2. 국가적 차원의 저출산 대책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산 대책
1.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출산장려정책
2. 지자체의 합계출산율 현황
3. 합계출산율 상·하위 3개 지자체의 저출산 대책 비교
제4장 저출산 정책의 정책체계 평가
제1절 저출산 정책의 정책 목표-수단 합리성 평가
1. 결혼준비 지원
2. 일·가정양립지원
3. 보육 및 유아교육 지원
4. 임신·출산·건강 지원
5. 아동 및 청소년 보호
제2절 저출산 정책의 정책 수단 특성 평가
1. 결혼준비 지원사업의 정책 수단 특성 분석
2. 일·가정양립지원사업의 정책 수단 특성 분석
3. 보육 및 유아교육 지원
4. 임신·출산·건강 지원
5. 아동 청소년 보호
제5장 저출산 정책의 예산 및 성과 분석
제1절 저출산 정책의 성과 및 예산 집행 분석
1. 성과 및 예산 집행 분석 결과
2. 평가 항목 간 교차분석 결과
제2절 저출산 정책의 예산 사업 성과에 관한 실증 분석
1. 실증분석을 위한 조사설계
2. 기술통계 결과
3. 실증분석 결과
제3절 저출산 정책의 예산규모 및 예산배분방향 분석
1. 저출산 정책의 필요 최저예산 규모 분석
2. 저출산 정책의 하위 유형간 예산배분방향 분석
제6장 선진국의 저출산 정책 유형
제1절 선진국의 저출산 정책 동향
제2절 주요 선진국의 저출산 정책수단
1. 프랑스
2. 스웨덴
3. 일본
제3절 시사점
제7장 결론: 정책제언
제1절 저출산 정책체계의 개선
1. 저출산 세부과제의 정책목표-수단 합리성 강화
2. 저출산 정책 수단의 선별성 강화
3. 저출산 예산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재정사업평가 강화
4. 저출산 정책의 예산배분 조정: 일·가정양립지원 예산 확대
5. 저출산 정책의 성과관리체계 개선
제2절 저출산 정책조합 방향과 정책 수단 개선
1. 저출산 정책문제의 재정의
2. 대상 집단별 우선적 정책 시행
3. 다자녀를 우대하는 보편주의 내 선별 강화
4. 생애주기 관점에서 저출산 정책의 통합적 추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