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III)
- 서명/저자사항
- 패널자료 품질개선 연구(III)/ 홍민기 [외]저
- 개인저자
- 홍민기 [외] 저
- 발행사항
-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vi, 156p. : 삽도 ; 23cm
- ISBN
- 9788973569830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03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30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홍민기)
제2장 소득 히핑(Heaping)의 보정(홍민기)
제1절 서 론 3
제2절 분석 자료와 소득 히핑 4
제3절 히핑 자료의 보정 방법 8
제4절 히핑 보정이 소득불평등 지수에 미치는 영향 12
제3장 측정오차에 대한 통계적 보정 방법론 연구(김재광)
제1절 서 론 16
제2절 Basic Setup 19
제3절 제안된 방법론 21
제4절 모의 실험 26
제5절 고령화패널조사 자료 분석 28
자료설명 28
현황분석 28
알고리즘 34
분석결과 37
제6절 결 론 42
제4장 표본이탈 교정을 위한 계량경제학 방법(한치록)
제1절 서 론 44
제2절 표본이탈의 종류 46
1. 누락 메커니즘의 종류와 분석상의 함의 47
2. 비균형패널 사용 분석의 적절성 49
제3절 표본이탈 편향의 검정 54
제4절 표본이탈 편향의 교정 56
1. 확률역수 가중치 부여(IPW) 방식 56
2. 내생성을 통제하여 표본이탈 편향 교정 59
제5절 사업체패널 자료의 분석 64
1. 응답거절과 소멸을 동일한 표본이탈로 간주한 분석 66
2. 응답거절과 소멸을 별도로 취급 72
제6절 맺음말 75
1. 응답거절과 소멸을 동일한 표본이탈로 간주한 분석 76
2. 응답거절과 소멸을 별도로 취급 90
제5장 Nonignorable panel attrition에 대한 보정 연구(김재광)
제1절 서 론 105
제2절 기본틀(Basic setup) 107
제3절 제안 방법 109
1. 새로운 nonignorable 응답 모형 추정방법 109
2. 패널조사에서의 nonignorable 응답 모형 추정 113
제4절 사업체패널조사 데이터 115
1. 자료(data) 설명 115
2. 응답 모형 116
3. dynamic panel 모형 계수 추정 122
4. 응답성향 점수를 이용한 dynamic panel 모형 추정 123
5. 분석결과 126
제5절 결 론 129
제6장 Paradata를 활용한 패널 무응답 보정을 위한 가중치 부여 방안(김기민)
제1절 서 론 131
제2절 Paradata에 대한 개요 132
제3절 첫 컨택 반응이 조사에 미치는 영향 134
제4절 첫 컨택 반응을 포함한 응답성향 모형 구축 138
1. 첫 컨택 반응 변수를 포함한 응답성향 모형 구축 138
2. 패널조사 가중치 부여 방법 138
3. 패널 가중치 비교 139
제5절 맺음말 142
제7장 요약:결론 및 시사점 (홍민기)
1. 소득 히핑(Heaping)의 보정 145
2. 측정오차에 대한 통계적 보정 방법론 연구 146
3. 표본이탈 교정을 위한 계량경제학 방법 147
4. Nonignorable 패널이탈에 대한 보정 연구 148
5. Paradata를 활용한 패널 무응답 보정을 위한 가중치 부여 방안 149
참고문헌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