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acorn+PACKT technical book 시리즈

데이터 시각화 설계와 활용: 데이터에 내재된 인사이트 발견과 표현 방법

서명/저자사항
데이터 시각화 설계와 활용: 데이터에 내재된 인사이트 발견과 표현 방법/ 앤디 커크 지음 ; 서하연 옮김
개인저자
Kirk, Andy | 서하연
발행사항
의왕 : 에이콘, 2015
형태사항
230 p. : 삽화, 도표 ; 24 cm
ISBN
9788960777750
주기사항
기술 감수자: 앨버트 카이로(Albert Cairo), 벤 존스(Ben Jones), 산티아고 오르티즈(Santiago Ortiz), 제롬 쿠키어(Jerome Kukier) 색인수록 설명적 각주 수록
원서명
Data visualization : Structured design approach to equip you with the knowledge of how to successfully accomplish any data visualization challeng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uccessful design process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490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49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요약 ★

이 책은 데이터 시각화 작업을 시도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데이터 시각화를 만드는 전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고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를 구조적인 방법론을 통해 점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데이터 시각화가 예술과 과학의 교차점임을 강조하고, 시각화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전산학, 수학, 통계학, 인지과학, 시지각에 대한 연구 등 시각화의 저변에 깔린 다양한 형태의 과학 분야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풍부한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시각화 작업에서 쓰이는 다양한 시각화 차트를 예시와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유용한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 환경에 대한 개요와 참조 사이트, 최근 동향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규모나 복잡함에 관계없이 우아하고 강렬한 시각화 솔루션을 만드는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
■ 언제, 어떤 결정들을 내려야 할지 디자인 과정에서 결정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가이드를 제공하는 디자인 방법론
■ 시각화 디자인의 목적을 수립하고, 디자인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의 중요성
■ 데이터를 이해하고 데이터의 물리적인 특성에 익숙해지는 방법과 잠재적인 스토리를 찾고 편집 방향을 잡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
■ 데이터 시각화 디자인에 대한 구조적 접근, 다양한 시각화 차트 종류 설명 및 예시
■ 시각화 작업에 쓰이는 다양한 도구에 대한 설명과 이후 작업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들

★ 이 책의 대상 독자 ★

시각적인 데이터 분석과 커뮤니케이션에 책임이나 흥미가 있거나, 이를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누구에게나 유용하다.

★ 이 책의 구성 ★

1장, '데이터 시각화의 맥락'에서는 데이터 시각화라는 주제와 가치, 최근 동향을 소개한다. 이 장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론과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내기 위해 단계별로 필요한 방안을 소개하고, 선택 범위 중 적합한 것을 찾을 때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설계 목표에 대한 토의로 마무리한다.

2장, '프로젝트의 목표 설정 및 핵심 요소 확인'에서는 시각화의 목적(시각화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며 의도하는 효과는 무엇인가?)을 파악하는 작업으로 방법론의 첫 단계를 시작한다. 이어서 가급적 조기에 디자인 의사결정의 형태를 잡기 위해 시각화의 기능과 분위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범위 결정 단계를 마무리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을 정의하고 효과를 측정할 것이다. 효과적 시각화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 지식, 일반적 능력에 특히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3장, '편집 방향 설정, 데이터 파악'에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데이터에 얽힌 문제들과 데이터로부터 찾아내고 표현하고자 하는 이야기들을 살펴볼 것이다.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편집의 방향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살펴보고, 데이터 시각화 프로젝트에서 시간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작업인 데이터 준비 과정을 확인할 것이다. 이 장에서의 배운 내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데이터로부터 이야기를 발견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시각화 방법론을 적용한 예제들을 살펴볼 것이다.

4장, '시각화 디자인 옵션 결정'은 데이터 준비 작업 및 범위 결정 단계 완료 후 효과적 시각화 솔루션을 만드는 과정에 수반되는 디자인 이슈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는 디자인 옵션을 정의하고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이 책의 중심 내용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시각화 디자인의 구조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우리의 도전을 데이터의 묘사와 표현이라는 상호 보완적인 두 관점으로 나눌 것이다.

5장, '데이터 시각화 방법론 분류체계'는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데이터 시각화 방법론의 분류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앞 장과 관계가 있다. 이 장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차트 유형과 그래픽 방법론을 조직화해서 정리했고, 이를 활용해 각자의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 모음집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6장, '시각화 솔루션 구축 및 평가'에서는 시각화 디자인 구축 과정 중 마지막 단계에 집중한다. 이 장에서는 일반적이고 유용한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 환경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시각화 디자인의 테스트, 완료, 출시 시점에 고려해야 할 주요 사안과 프로젝트의 출시를 평가하는 데 관계된 중요 항목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시각화 디자인 기술을 끊임없이 배우고 개발하고 연마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좋은 방법을 공유하면서 마무리한다.
목차

1 데이터 시각화의 맥락
__디지털 시대 개척
__발견을 위한 도구로서의 시각화
__시각화 지식의 기반
__데이터 시각화 정의
__대중을 위한 시각화 기법
__데이터 시각화 방법론
__시각 디자인의 목표
____형식과 기능을 모두 고려 할 것
____모든 일의 필요성을 증명하라
____직관적 디자인을 통해 접근성 확보
____사용자를 속이지 말자
__정리

2 프로젝트의 목표 설정 및 핵심 요소 확인
__프로젝트의 목적 명확화
____존재의 이유
____의도된 효과
__의도 설정: 시각화의 기능적 측면
____설명을 위한 용도일 때
____탐색을 위한 용도일 때
____표현을 위한 용도일 때
__의도 설정: 시각화의 분위기
____정확하고 분석적으로
____감정적이고 추상적으로
__시각화 프로젝트를 둘러싼 핵심 요소들
__데이터 시각 디자인 분야의 8개 모자 모델
____창안자
____데이터 과학자
____기자
____컴퓨터 과학자
____디자이너
____인지 과학자
____전달자
____프로젝트 매니저
__정리

3 편집 방향 설정, 데이터 파악
__편집 방향의 중요성
__전처리 및 데이터 파악
__편집 방향 재정비
__스토리를 찾기 위해 시각적 분석 활용
__스토리 발견과 스토리 전달
__정리

4 시각화 디자인 옵션 결정
__데이터 시각화 디자인에서 선택의 중요성
__몇 가지 유용한 팁
__시각화 내부 구조: 데이터 형상화
____적절한 시각화 방법 선택
____데이터의 물리적 성질 고려
____해석 상의 정확도 결정
____적절한 디자인 메타포 생성
____최종 솔루션 선택
__시각화 내부 구조: 데이터 표현
____색상의 사용
____상호작용 생성
____주석
____배치
__정리

5 데이터 시각화 방법론 분류체계
__데이터 시각화 방법론
__적합한 차트 유형 선택
____카테고리 비교
________도트 플롯
________바 차트
________플로팅 바 차트
________픽셀화 바 차트
________히스토그램
________기울기 그래프
________방사형 차트
________글리프 차트
________생키 다이어그램
________영역 크기 차트
________스몰 멀티플스
________단어 구름
____계층구조 및 부분과 전체의 관계 확인
________파이 차트
________누적 바 차트
________사각 파이
________트리 맵
________서클 패킹 다이어그램
________계층화 버블
________계층화 트리
____시간에 따른 변화 보기
________라인 차트
________스파크라인
________영역 차트
________호라이즌 차트
________누적 영역 차트
________스트림 그래프
________양초 차트
________바코드 차트
________플로우 맵
____연결과 관계 플로팅
________산점도
________버블 플롯
________산점도 행렬
________히트맵
________병렬 세트
________방사형 네트워크
________네트워크 다이어그램
____지리-공간 데이터 매핑
________등치 지역도
________도트 플롯맵
________버블 플롯맵
________등치선도
________입자 흐름 지도
________카토그램
________돌링 카토그램
________네트워크 연결 지도
__정리

6 시각화 솔루션 구축 및 평가
__시각화 작업의 기술적인 측면
____시각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
____차트와 통계를 위한 분석 도구
____프로그래밍 환경
____지도를 위한 도구들
________다른 특별한 도구
__시각화 디자인 구축 프로세스
__마지막 단계
__출시 후 검증
__역량 개발
____연습, 연습, 연습!
____다른 사람들의 작품 평가
____결과를 공개하고 공유
____본격적인 학습
__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