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도서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 연구 총서 4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 서명/저자사항
-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백창재 [외]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형태사항
- xxix, 260 p. : 삽화(일부천연색) ; 23 cm
- ISBN
- 9788952110404 (세트) 9788952114723
- 주기사항
- 공저자: 신욱희, 유근배, 윤석민, 전경수##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이 연구는 포스코경영연구소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320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32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거대한 대외적 환경의 전환 시대!
새로운 전략환경의 구조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부응하는 국가와 사회의 전략을 모색하다
이 책은 ‘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이라는 주제 아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들의 학제 간 연구를 담고 있는 <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 연구 총서>의 넷째 권이다. 과거의 부(富)가 하드웨어 중심이었다면, 미래의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지식과 상상력에서 발원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은 반드시 경제적 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역량의 복합적 산물이자 정치 체제의 선진화와도 직결된다는 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동아시아의 전략환경의 변화, 국내의 미디어 지형의 변화, 그리고 이들 변화 사이에 긴밀한 연동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저자들은 국제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국가의 주체로서의 전략적 선택이 강고한 기초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소통의 활성화, 민주적인 여론 형성, 더 나아가 선진화된 시민사회의 건설에 필수적인 건강한 미디어 시스템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동시에 국제기후환경체제의 중재자, 동북아 지역주의의 추진자라는 역할을 자임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상위정치와 하위정치를 넘어서서 다양한 의제를 발굴하고 협력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소프트웨어를 제시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고, 독도에서 발굴한 새로운 구도, 즉 일상의 글로벌화가 그러한 노력의 예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출판사 서평]
이 책에서는 냉전의 시대가 종식된 지난 20여 년간 세계정치경제질서의 구조적 변화 특히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힘의 분산과 재편성을 다룬다. 이렇듯 거대한 파도 위에 한국이 위치한 대외적 환경의 전환 시대에 이에 부응하는 국가와 사회의 전략을 모색하며, 국가의 전략 선택은 그 근거를 국민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국민 대중의 일상이 국가의 전략적 행동을 추동하기 위해서는 소통의 활성화와 민주적 여론 형성이라는 조건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개인의 일상사에 강력하고 급속하게 영향을 미치는 SNS 및 미디어의 역할은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탈냉전과 세계화,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세계정치경제질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힘의 이동과 분산에 주목한다.
2장에서는 냉전 이후 특히 미중, 미일, 중일의 양자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중일 간의 패권경쟁과 중국화의 경향, 미국의 적극적인 동남아 정책과 미중경쟁의 양상 등 다자주의의 상호작용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지역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을 국제적 이슈에 접목시킬 때에 일상의 글로벌화라는 새로운 구도의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소프트 파워의 해결책이 모색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동해에 일고 있는 작은 해역분쟁에 일상의 개념을 도입할 것을 주장한다.
4장에서는 급속한 변화를 거듭하며 국민의 일상을 휘덮고 있는 미디어 지형을 조망하기 위해, 각 미디어별 산업 동향을 신문, 방송, 인터넷, SNS 등 개별 미디어 영역별로 살펴보고, 이러한 미디어들이 다양한 층위의 사회적 소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망한다.
5장에서는 기후변화를 매개로 조성된 국제환경을 국내적으로는 생활 양식과 국가체질을 개선하고 국제적으로는 중재자적 리더십을 확립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후변화와 영향을 전 지구적 규모, 아시아의 대륙적 규모, 그리고 한반도의 규모(축척)에서 살펴보고, 대내외의 적응대책을 검토한다.
새로운 전략환경의 구조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부응하는 국가와 사회의 전략을 모색하다
이 책은 ‘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이라는 주제 아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들의 학제 간 연구를 담고 있는 <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 연구 총서>의 넷째 권이다. 과거의 부(富)가 하드웨어 중심이었다면, 미래의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지식과 상상력에서 발원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은 반드시 경제적 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역량의 복합적 산물이자 정치 체제의 선진화와도 직결된다는 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동아시아의 전략환경의 변화, 국내의 미디어 지형의 변화, 그리고 이들 변화 사이에 긴밀한 연동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저자들은 국제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국가의 주체로서의 전략적 선택이 강고한 기초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소통의 활성화, 민주적인 여론 형성, 더 나아가 선진화된 시민사회의 건설에 필수적인 건강한 미디어 시스템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동시에 국제기후환경체제의 중재자, 동북아 지역주의의 추진자라는 역할을 자임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상위정치와 하위정치를 넘어서서 다양한 의제를 발굴하고 협력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소프트웨어를 제시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고, 독도에서 발굴한 새로운 구도, 즉 일상의 글로벌화가 그러한 노력의 예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출판사 서평]
이 책에서는 냉전의 시대가 종식된 지난 20여 년간 세계정치경제질서의 구조적 변화 특히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힘의 분산과 재편성을 다룬다. 이렇듯 거대한 파도 위에 한국이 위치한 대외적 환경의 전환 시대에 이에 부응하는 국가와 사회의 전략을 모색하며, 국가의 전략 선택은 그 근거를 국민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국민 대중의 일상이 국가의 전략적 행동을 추동하기 위해서는 소통의 활성화와 민주적 여론 형성이라는 조건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개인의 일상사에 강력하고 급속하게 영향을 미치는 SNS 및 미디어의 역할은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탈냉전과 세계화,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세계정치경제질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힘의 이동과 분산에 주목한다.
2장에서는 냉전 이후 특히 미중, 미일, 중일의 양자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중일 간의 패권경쟁과 중국화의 경향, 미국의 적극적인 동남아 정책과 미중경쟁의 양상 등 다자주의의 상호작용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지역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을 국제적 이슈에 접목시킬 때에 일상의 글로벌화라는 새로운 구도의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소프트 파워의 해결책이 모색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동해에 일고 있는 작은 해역분쟁에 일상의 개념을 도입할 것을 주장한다.
4장에서는 급속한 변화를 거듭하며 국민의 일상을 휘덮고 있는 미디어 지형을 조망하기 위해, 각 미디어별 산업 동향을 신문, 방송, 인터넷, SNS 등 개별 미디어 영역별로 살펴보고, 이러한 미디어들이 다양한 층위의 사회적 소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망한다.
5장에서는 기후변화를 매개로 조성된 국제환경을 국내적으로는 생활 양식과 국가체질을 개선하고 국제적으로는 중재자적 리더십을 확립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후변화와 영향을 전 지구적 규모, 아시아의 대륙적 규모, 그리고 한반도의 규모(축척)에서 살펴보고, 대내외의 적응대책을 검토한다.
목차
발간사
책을 내면서
제1장 세계정치경제의 힘의 이동과 질서 변화-백창재
1. 서론: 세계정치경제의 주요 흐름
2. 힘의 이동에 대한 관점
3. 힘의 이동의 다면성
4. 세계정치경제질서에 대한 함의
제2장 동아시아 전략 환경의 변화와 한국: 양자와 다자의 상호작용-신욱희
1. 서론
2. 양자관계
3. 다자주의
4. 결론: 한국의 전략
제3장 울릉도의 토속지명으로 본 자원과 경계-전경수
1. 서론: 문서와 기억
2. 울릉도의 역지
3. 벌목과 조선
4. 자원: 음식, 진상품, 군수품, 상품
5. 토속지명과 지도
6. 결론
제4장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디어 지형 변동-윤석민·오형일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사회적 소통 구조와 미디어
3. 21세기 한국사회의 주요 미디어 동향
4. 결론
제5장 기후변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유근배
1. 서론
2. 동아시아의 기후변화
3. 기후변화와 관련된 국제정치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4. 기후변화 대응 전략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