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연구보고서 2013-1

맞벌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건강영향 연구: 근로시간을 중심으로

서명/저자사항
맞벌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건강영향 연구: 근로시간을 중심으로/ 김동식 [외]저
개인저자
김동식 [외]저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형태사항
xxxix, 190p. : 삽화,도표 ; 26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3-1
ISBN
978898491574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257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25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 내용
가. 선행연구 고찰
나. 근로시간과 일ㆍ가정 관련 시간부족 및 피곤 인지도
다. 근로시간별 일ㆍ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구조모형
라. 근로시간 증감과 일ㆍ가정 양립 갈등 및 건강 변화
마. 근로시간 단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바.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일ㆍ가정양립, 건강 및 삶의 질 변화 : K 자동차 사례
3. 연구방법
가. 문헌 연구
나. 현황 연구
다. 구조모형 연구
라. 패널 연구
마. 심층 연구
바. 전문가 자문회의
4. 연구의 의의 및 한계

II.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1. 일ㆍ가정양립 갈등의 개념
가. 일ㆍ가정 양립 갈등의 전이이론과 하위요인
나. 일ㆍ가정 양립 갈등의 성별 차이
2. 직업특성과 일ㆍ가정 양립의 관계
3. 근로시간과 일ㆍ가정 양립의 관계
가. 맞벌이 여성의 근로시간에 따른 일ㆍ가정 양립
나. 맞벌이 남성의 근로시간에 따른 일ㆍ가정 양립
4. 일ㆍ가정 양립과 건강의 관계
5. 일ㆍ가정 양립과 건강에 대한 직업특성 및 근로시간의 영향

III. 근로시간과 일ㆍ가정 관련 시간부족 및 피로 인지도
1. 맞벌이ㆍ비맞벌이 부부의 근로ㆍ가사노동ㆍ건강관리 시간 현황
가. 시간량
나. 시간대
2. 맞벌이 임금근로자의 근무형태별 가사노동 및 건강관리 시간 현황
가. 시간량
나. 시간대
3. 맞벌이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별 가사노동 및 건강관리 시간 현황
가. 시간량
나. 시간대
4. 맞벌이 임금근로자의 근무특성과 일ㆍ가정 관련 시간부족 및 피곤인지도
가. 인구사회적 특성
나. 근로ㆍ가사노동 및 건강관리 시간 특성
다. 근무 특성
라. 피곤 인지도에 대한 근무특성 및 일ㆍ가정 관련 시간부족의 영향
5. 소결

IV. 근로시간별 일ㆍ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구조모형
1. 기초 현황 분석
가. 기초 현황 및 정상분포조건 충족 분석
나. 근로시간과 가정생활 특성
다. 근로시간과 직장생화 특성
라. 근로시간과 일ㆍ가정 양립 갈등 및 우울 특성
2. 근로시간별 일ㆍ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감에 관한 구조모형
가. 전체 근로시간의 구조모형
나. 주 15~35시간 근무제의 구조모형
다. 주 36~40시간 근무제의 구조모형
라. 주 41시간 이상 근무제의 구조모형
3. 소결

V. 근로시간 증감과 일ㆍ가정 양립 갈등 및 건강 변화
1. 근로시간과 일ㆍ가정양립 및 건강상태 현황
가. 근무제 현황
나. 근로ㆍ가사노동 시간 , 일ㆍ가정양립 갈등 및 건강상태 현황
2. 근로시간 증감에 따른 일ㆍ가정양립 갈등 변화
가. 근무제 변동과 일ㆍ가정양립 갈등 변화
나. 근로ㆍ가사노동 시간 변동과 일ㆍ가정양립 갈등변화
다. 일ㆍ가정 양립 갈등 증가에 대한 근로 및 가사노동 시간 증감의 영향
3. 근로ㆍ가사노동 시간, 일ㆍ가정양립 갈등 증감과 건강변화
가. 근무제 변동과 건강상태 변화
나. 근로 및 가사노동 시간 증감과 건강 상태 변화
다. 일ㆍ가정양립 갈등 증감과 건강상태 변화
라. 불건강의 증가에 대한 근로ㆍ가사노동 시간 및 일ㆍ가정양립 갈등 증감의 영향
4. 소결

VI. 근로시간 단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근로시간 단축 여부에 따른 근무제 변동
가. 근로시간 변동
나. 휴일제 변동
2.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근무환경 만족도 및 조직 몰입도
가. 근무환경 만족도
나. 근무환경 위험도
다. 조직 몰입도
3. 건강상태에 대한 근로시간의 영향
가. 근로시간 단축 및 주요변수와 건강상태의 연관성
나. 건강상태에 대한 근로시간 단축 및 근무제 특성의 영향
4. 소결

VII.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일ㆍ가정 양립과 건강 및 삶의 질 변화 관련 심층면접 조사 : K자동차 사례
1. 서론
2. HㆍK자동차 업체 노동시간 현황 및 변화 과정
가. 도입 추진과정
나. 도입배경
다. 도입 의미
3. 노동시간 단축효과 분석을 위한 면접조사 결과
가. 면접조사 개요
나. 면접조사 결과
4. 소결

VIII. 결론 및 향후 정책방향
1. 결론
2. 향후 정책 방향
가. 기본적인 정책 방향
나. 세부적인 정책 방향

■ 참고문헌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