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복지론
Social work with families
- 서명/저자사항
- 가족복지론/ 한인영, 강향숙, 구승신, 김경희, 김선민, 김유정, 김주현, 김지혜, 박형원, 백형의, 우재희, 이영선, 이예승, 이인정, 이혜경, 임정원, 장수미, 정선영, 최정숙 공저
- 대등서명
- Social work with families
- 개인저자
- 강향숙 | 구승신 1969- | 김경희 | 김선민 1961- | 김유정 | 김주현 | 김지혜 1973- | 박형원 | 백형의 | 우재희 | 이영선 1976- | 이예승 | 이인정 | 이혜경 | 임정원 | 장수미 1967- | 정선영 | 최정숙 | 한인영 1950-
- 발행사항
- 서울 : 학지사, 2015
- 형태사항
- 461 p. ; 27 cm
- ISBN
- 9788999706066
- 주기사항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주제어
- 가족 복지[家族福祉]
책 소개
이 책은 총 4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가족복지의 기본 개념의 이해를 위한 일반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가족복지 정책을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가족복지 실천의 이론과 과정을 기술하였다. 제4부에서는 가족복지 실천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중독가족, 가정폭력가족, 이혼가족과 재혼가족, 만성질환가족, 정신장애인가족, 장애인가족, 치매노인가족, 다문화가족, 노년기가족을 중심으로 기본 개념의 이해, 가족 문제를 설명하는 이론 및 관점, 특정 가족 유형에 대한 서비스 현황 및 관련 법령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가족복지와 가족복지 실천에 대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지식과 현황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가족복지 실천현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제1부 가족복지 개관
제1장 가족에 대한 이해
1. 가족의 개념과 기능
2. 현대사회 가족의 변화
3. 가족변화를 바라보는 시각
4. 현대사회 가족의 문제 및 욕구
제2장 가족복지에 대한 이해
1. 가족복지의 개념
2. 가족복지의 필요성
3. 가족복지의 대상
4. 가족복지의 접근 방법
제2부 가족복지 정책
제3장 가족복지 정책에 대한 이해
1. 복지국가와 가족복지 정책
2. 가족복지 정책의 개념
3. 가족복지 정책의 유형
4. 가족복지 정책의 대상
제4장 우리나라의 가족복지 정책
1. 우리나라의 가족복지 정책
2. 우리나라의 가족복지 관련 법
3. 우리나라 가족복지 정책의 전망과 과제
제5장 외국의 가족복지 정책
1. 미국의 가족복지 정책
2. 영국의 가족복지 정책
3. 독일의 가족복지 정책
4. 프랑스의 가족복지 정책
5. 스웨덴의 가족복지 정책
제3부 가족복지의 실천
제6장 실천 관점 및 이론
1. 가족체계
2. 가족 발달주기
3. 가족 스트레스 이론
4.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
5. 가족치료 이론
제7장 가족복지 실천 과정
1. 접수 단계
2. 사정 및 계획수립 단계
3. 개입 단계
4. 종결 단계
제4부 가족복지의 실천 분야
제8장 중독가족
1. 중독가족에 대한 이해
2. 중독가족의 대처 양상
3. 중독가족과 치료
제9장 가정폭력가족
1. 가정폭력 현황
2.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
3. 가정폭력 관련 이론
4. 가정폭력 피해경험 및 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
5.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및 서비스
제10장 이혼가족과 재혼가족
1. 이혼가족에 대한 이해
2. 이혼가족에 대한 관점
3. 이혼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및 서비스
4. 재혼가족에 대한 이해
5. 재혼가족에 대한 관점
6. 재혼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 및 대책
제11장 만성질환가족
1. 만성질환의 개념과 현황
2. 만성질환가족에 대한 이해
3. 만성질환가족 관련 이론
4. 만성질환가족 지원 정책 및 서비스
제12장 정신장애인가족
1. 정신장애인가족에 대한 이해
2. 정신장애인가족에 대한 관점
3. 서비스 현황 및 대책
제13장 장애인가족
1. 장애인가족에 대한 이해
2. 장애인가족 이해에 필요한 관점들
3. 장애인가족 현황
4. 장애인가족 지원 서비스의 개념정의와 패러다임 변화
5. 장애인가족 지원을 위한 관련 법령
6. 장애인가족 지원 서비스 향상을 위한 제언
제14장 치매노인가족
1. 치매의 개념
2. 치매노인가족
3. 현황
4.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5. 치매노인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6. 치매노인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제15장 다문화가족
1.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2. 다문화적응과 관련 이론
3. 다문화가족 현황
4. 다문화가족의 당면 문제
5. 서비스 현황 및 대책
제16장 노년기가족
1. 노년기가족에 대한 이해
2. 노년기가족의 유형과 현황
3. 노년기가족의 주요 문제
4. 노년기가족에 대한 이론적 접근
5. 노년기가족을 위한 제도 및 사회복지 서비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