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석학人文강좌 77
베트남: 역사와 사회의 이해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877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4877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베트남의 역사는 흔히 ‘북거(北拒)’와 ‘남진(南進)’이란 말로 이야기된다. ‘북거’란 중국의 지배와 침입에 대한 베트남인들의 끈질긴 저항을 의미한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이른바 중국의 조공체제를 수용하여 평화적 관계를 유지하고 그 문화도 받아들였다. 그러면서도 대내적으로는 중국과 대등하다는 태도를 취해 역대 왕조의 군주들은 황제를 칭했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 ‘남진’이란 북부가 처음 정치적 중심지였던 베트남이 중부지방의 해안을 따라 존재하던 소국가들의 연방체인 참파를 희생시킨 다음 캄보디아 영토이던 남부까지 점령한 것을 말한다. 베트남은 15세기 후반 참파의 영토를 거의 점령하고, 17, 18세기에는 현재의 남부도 손에 넣었다.
그러나 ‘북거’와 ‘남진’에는 일반 베트남 사람들의 삶이나 사회적 성격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한 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잘 나타내는 가족제도, 그중에서도 베트남 가족에서 중요한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여성의 지위문제를 논의했다. 부인의 재산소유권이라든가 경제적 활동 등으로 보아 부부의 지위가, 특히 피지배계층에서는 거의 평등했던 것 같다.
그러나 ‘북거’와 ‘남진’에는 일반 베트남 사람들의 삶이나 사회적 성격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한 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잘 나타내는 가족제도, 그중에서도 베트남 가족에서 중요한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여성의 지위문제를 논의했다. 부인의 재산소유권이라든가 경제적 활동 등으로 보아 부부의 지위가, 특히 피지배계층에서는 거의 평등했던 것 같다.
목차
_책머리에·6
머리말·11
제 1 장 | 대중(對中)저항과 대등의식
1. 북속시기의 저항의식·33
2. 독립왕조의 성립과 조공 및 대등의식·64
3. 레 왕조 이후의 조공과 방교 ·93
제 2 장 | 베트남의 남진(南進)
1. 북속시기 참파의 북진·129
2. 베트남의 독립과 참파와의 대립·140
3. 쩨 봉 응아의 전사와 참파의 약화 ·170
4. 응우옌 호앙(阮潢)의 남부정착과 남진의 본격화·187
제 3 장 | 부부관계와 여성의 지위
1. 부부관계의 성립·217
2. 부부의 권리와 의무·235
3. 부부관계의 해소·260
맺음말·277
_참고문헌·287
_찾아보기·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