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빈곤층의 부채에 대한 질적 연구: 부채 발생과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Household Debt of the Working Poor in Kore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uses and Ripple Effects
- 서명/저자사항
- 근로빈곤층의 부채에 대한 질적 연구: 부채 발생과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노대명, 박창균, 박상금, 한솔희, 김솔휘
- 대등서명
- Household Debt of the Working Poor in Kore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uses and Ripple Effects
- 발행사항
-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368p : 도표 ; 24cm
- 총서사항
- 연구보고서 2017-40
- ISBN
- 9788968274541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4836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48365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83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4836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방법
제3절 연구 내용과 그 한계
제2장 이론적 검토
제1절 부채 문제의 역사적 진화
제2절 가계부채의 이론과 조작적 정의
제3절 가계부채와 근로빈곤의 문제
제4절 가계부채의 발생과 파급효과
제3장 주요국 가계부채 문제와 빈곤층 지원정책
제1절 각국 가계부채 문제의 추이와 최근 동향
제2절 영국의 가계부채 실태 및 지원정책
제3절 프랑스의 가계부채 실태 및 지원정책
제4절 일본의 가계부채 실태 및 지원정책
제4장 저소득층 가계부채 실태 진단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소득계층별 가계부채의 규모와 추이
제3절 저소득층의 가계부채 보유 형태
제4절 저소득층 가계부채의 부담 실태
제5절 소득분위별 가계부채 결정 요인
제6절 소결
제5장 근로빈곤층 가계부채의 특성과 결정 요인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근로빈곤층의 규모와 특징
제3절 근로빈곤층의 가구 특성과 취업 특성
제4절 근로빈곤층의 소득과 소비 그리고 부채
제5절 가계부채에 대한 소득계층별 태도
제6절 가계부채가 근로빈곤에 미치는 영향
제7절 근로빈곤층 가계부채 결정 요인
제8절 소결
제6장 근로빈곤층 가계부채의 발생 원인과 파급효과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연구방법과 조사의 개요
제3절 가계부채 발생 원인과 그에 대한 인식
제4절 가계부채 및 과중채무의 파급효과
제5절 과중채무와 채무불이행으로의 진입과 탈출
제6절 복지정책과 비영리지원기관의 역활
제7절 소결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안
제1절 연구 결과의 학술적 시사점
제2절 금융정책과 관련된 정책 제안
제3절 사회정책과 관련된 정책 제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