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17-39

소득보장제도 체계화 방안 연구

Improving Imcome Security System of Korea

서명/저자사항
소득보장제도 체계화 방안 연구/ 강신욱, 노대명, 이현주, 정해식, 김계환, 김근혜, 조한나
대등서명
Improving Imcome Security System of Korea
발행사항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형태사항
259p :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7-39
ISBN
9788968274527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48196대출가능-
자료실EM04819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481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4819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소득보장제도의 개선에 관한 선행 연구 13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9

제2장 한국 소득보장제도의 현황과 주요 쟁점 27
제1절 소득보장제도의 의미와 구성 29
제2절 주요 소득보장제도의 발전과정과 현황 34
제3절 소득보장제도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한계 62
제4절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소득보장 수준 71

제3장 소득보장제도를 둘러싼 미래 환경 변화 81
제1절 문제 제기 83
제2절 디지털 전환과 산업의 변화 85
제3절 경제의 작동원리 변화 95
제4절 디지털 전환의 사회적 영향 102
제5절 사회정책적 시사점 113

제4장 해외의 소득보장제도 개편 논의 - 프랑스를 중심으로 119
제1절 들어가며 121
제2절 각국의 소득보장제도 개편 동향 122
제3절 프랑스 소득보장제도의 최근 개편 동향 132
제4절 소결: 프랑스 소득보장제도 개혁의 시사점 142

제5장 소득보전제도의 의의와 과제 145
제1절 소득보전제도와 소득보장제도의 관계 147
제2절 공적 사회지출 수준과 현금ㆍ현물 급여의 구성 155
제3절 기초욕구 충족을 위한 가구 부담 161
제4절 영역별 사회지출 구성과 함의 165

제6장 사회보험 포괄성 확대의 유효성 진단과 대응 16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1
제2절 소득보장제도의 가입 사각지대 현황과 평가 174
제3절 집단별 소득보장 사회보험 가입현황 198
제4절 소결 205

제7장 공공부조 및 사회수당의 변화 방향 209
제1절 문제 제기 211
제2절 소득보장제도의 집단별 포괄성 변화 214
제3절 소득보장제도의 급여 충분성 변화 226
제4절 포괄성 확대와 충분성 제고 효과의 비교 231
제5절 소결 238

제8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41

참고문헌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