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의 사회통합 사례와 교훈: 동유럽국가의 지역정책 이행에 관한 실태조사 및 분석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들어가며
2. 지역정책의 변천과 시사점
3. 기존 통념
4. 주요 질문
5. 장의 구성
제2장 이론적 논의
1. 서론
2. 정부간주의
3. 신기능주의
4. 신제도주의
5. 구성주의
6. 다층적 통치이론
7. 결론
제3장 방법론
1. 분석의 수준
1.1. 지역화 및 분권화
1.2. 수평적 공조
1.3. 지역 간 균형 발전
1.4. 경제 및 사회 수렴 정도
1.5.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
2. 분석의 대상
2.1. 기존 수혜자
2.2. 신규 수혜자
3. 데이터
제4장 기존 국가에 대한 사례 조사
1. 서론
2. 아일랜드
2.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2.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3. 그리스
3.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3.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4. 포르투갈
4.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4.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5. 스페인
5.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5.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6. 결론
제5장 신생회원국에 대한 사례 조사
1. 서론
2. 폴란드
2.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2.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3. 헝가리
3.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3.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4. 체코
4.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4.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5. 슬로바키아
5.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5.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6. 슬로베니아
6.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6.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7. 에스토니아
7.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7.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8. 라트비아
8.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8.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9. 리투아니아
9.1. 지역화 및 분권화에 대한 평가
9.2. 결속 정도에 대한 평가
10. 결론
제6장 결론: 지역정책과 사회통합-그 의의, 한계, 제언
1. 글을 마무리하며
2. 지역화의 현황
2.1. 기존 결속국가의 경험과 시사점
2.2. 신생회원국의 선택과 그 함의
3. 다층적 통치의 한계성과 의의
4. 시사점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