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아산재단 연구총서 제269집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부문: 한국과 영국의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명/저자사항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부문: 한국과 영국의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상진, 황미영
개인저자
한상진 | 황미영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09
형태사항
218 p. ; 23 cm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269집
ISBN
9788930314138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07-218
책 소개
이 책은 21세기의 변화하는 지역사회 복지의 담론들과 자원 부문의 논의 지형을 한국과 영국의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영국에서 1990년대 말 이후 블레어 신노동당이 주창한 제3의 길은 사회적 응집과 경제적 활성화를 위해 시민사회의 전략적 중요성에 초점을 두는 신공동체주의를 채택하는데, 이 같은 지역사회에 대한 강조는 신노동당의 정책 담론 안에서 자원부문과 사회적 기업의 역할을 증진시켜 왔다. 반면에 지역사회복지나 자원부문의 역할이 영국에 비해 미미한 한국의 경우, 21세기 들어 급증하는 실업, 빈곤을 둘러싼 정책 수요에 대응하여 지역공동체의 역할을 대신한 국가의 위로부터의 일자리 창출 전략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2006년 이후 노동부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를 영국과 비교하기 위해 결론에서 간략하나마 영국의 공동체 이익회사(community Interest Company)와 한국의 사회적 기업 간 비교 분석을 시도하기도 했다.
목차

제1장 지역사회 변동과 공동체주의
1. 지역사회의 의미
2. 공동체 및 지역사회의 변동
1) 공동체의 변화
2) 지역사회의 변화
3. 공동체주의의 흐름
1)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2) 시민적 공동체주의
3) 정부 공동체주의

제2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한 모델로서의 진보적 지역사회개발
1.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대한 검토
1) 사회사업학에서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 최근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들
3)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대안적 관점과 비판적 활용
2. 진보적 지역사회개발이란 무엇인가
1) 진보적 지역사회개발의 의의
2) 독자적 사회운동으로서의 지역사회행동과의 관계
3) 진보적 지역사회개발의 모델들

제3장 자원부문과 사회적 경제
1. 자원부문의 개념과 여러 접근들
1) 자원부문의 정의
2) 자원조직을 둘러싼 쟁점들
2. 제3의 길 논쟁과 자원부문의 위상-영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1) 제3의 길 논쟁
2) 자원부문은 독자적 사회운동 조직인가, 정부 전달체계의 자원인가?
3. 제3체계,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1) 비영리부문과 제3부문
2) 제3체계의 개념
3) 사회적 경제의 의의
4)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제4장 영국에서의 자원부문과 사회적 경제
1. 자원적 지역사회 부문의 발전
2. 영국의 노동연계 복지체계와 정부-자원조직 간 관계
3. 영국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1) 영국에서의 사회적 경제
2) 영국 사회적 기업의 맥락
3) 사회적 기업의 사례들

제5장 한국에서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1. 한국의 노동연계 복지체계와 정부-자원부문 간 관계
1) 노동연계 복지체계의 특성
2) 자활사업과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의 제도적 문제점
3) 정부-자원조직 간 관계
2. 한국에서의 사회적 경제의 특성
3. 사회적 기업의 실천과 제도적 환경
1)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실천 담론들
2)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와 관련된 쟁점
3)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유형화와 전망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