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서명/저자사항
- 사회복지개론/ 저자: 김상균, 최일섭, 최성재, 조흥식, 김혜란, 이봉주, 구인회, 강상경, 안상훈
- 판사항
- 개정3판
- 대등서명
-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발행사항
- 파주 : 나남, 2011
- 형태사항
- 567 p. : 도표 ; 25 cm
- ISBN
- 9788930038638
- 주기사항
- 참고문헌(p. 519-541)과 색인수록
- 주제어
- 사회 복지[社會福祉]
책 소개
김상균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졸업(문학사)
영국 애버딘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졸업(철학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최일섭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학교 대학원 졸업(사회복지학 박사)
최성재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학교 대학원 졸업(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조흥식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혜란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졸업(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봉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서비스행정대학원(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구인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워싱턴대학교 대학원(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강상경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학원(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안상훈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사)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사회정책전공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목차
개정 3판 머리말 5
초판 머리말 7
일러두기 13
제1부 사회복지학의 기초지식
제1장 사회복지의 속성과 필요성 25
1. 사회복지의 개념 26
2. 사회복지의 유사용어와 개념 35
3. 사회제도의 기능과 사회복지의 기능 40
4. 사회복지의 필요성 43
요약 53
제2장 사회복지의 학문적 특성 55
1. 사회복지학과 사회과학 56
2. 사회복지학(study of social welfare)의 전공분야 64
3. 우리나라의 사회복지학 69
4.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의 전망과 과제 76
요약 84
제3장 사회복지의 동기 85
1. 측은지심 86
2. 상부상조 90
3. 종교적 의무 93
4. 정치적 배려 97
5. 경제적 이득 101
6. 이데올로기 명분 106
7. 전문직업적 동기 112
요약 115
제4장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117
1. 욕구 118
2. 자원 129
3. 전달체계 136
4. 사회복지 하위체계의 통합 144
요약 147
제5장 사회복지의 윤리와 이념 149
1. 소셜웤 윤리 150
2. 사회정책의 이념 164
요약 180
제6장 사회복지의 역사 181
1. 사회복지 역사연구의 분석틀 182
2. 서양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185
3.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200
요약 213
제7장 사회복지의 지식과 기술 215
1. 생태체계론(eco-systems theory) 216
2. 소셜웤의 이론과 실천기술 218
3. 사회복지정책 및 행정의 이론과 실천기술 230
요약 243
제8장 사회복지의 유형 245
1. 공급자별 유형 246
2. 대상 체계별 유형 252
3. 접근방법별 유형 253
4. 사회보장의 방법별 유형 257
5. 문제(욕구) 영역별 유형 258
6. 대상자 특성별 유형 259
7. 실천현장별 유형 266
8. 사회복지 유형화의 한계 272
요약 274
제2부 사회복지학의 응용지식
제9장 사회복지와 빈곤 및 불평등 277
1. 불평등과 빈곤, 분배정의 278
2. 빈곤 및 불평등의 정의와 측정 285
3. 우리나라 빈곤 및 소득불평등의 실태 290
4. 소득분배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정책 298
요약 305
제10장 사회복지와 건강 307
1. 사회복지와 건강에 대한 관점들 308
2. 건강의 안녕상태와 장애의 개념 312
3. 건강에 대한 이론적 접근들 314
4. 건강의 사정(Assessment) 325
5. 건강에 대한 개입 329
요약 336
제11장 사회복지와 인권 337
1. 인권의 개념과 사회복지와의 관계 337
2. 시민권 이론 352
3. 사회복지의 인권론적 접근에 대한 반대와 옹호 359
요약 367
제12장 사회복지와 복지국가 369
1. 복지국가 발전론 370
2. 복지국가 유형론 377
3. 복지국가 위기론 384
4. 복지국가 재편론 389
요약 398
제13장 사회복지와 세계화 399
1.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 400
2. 세계화와 국제화의 개념 차이 405
3. 우리나라의 세계화 정의: 국정목표와 발전 전략 407
4. 세계화의 측정과 명암 410
5. 선진국과 후진국에 미치는 세계화 영향의 차이 414
6. 세계화의 복지국가에 대한 영향 418
7.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세계화 422
요약 425
제14장 사회복지와 전문성 427
1. 전문직의 개념 429
2. 소셜웤의 전문성 논란 434
3. 우리나라 소셜웤의 현황 438
4.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업무의 예: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446
요약 455
제15장 사회복지와 인적자본 개발 457
1. 사회복지서비스 모형의 분석틀 458
2. 인적자본과 불평등 461
3. 인적자본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 467
4. 사회복지서비스와 인적자본 개발 470
5. 인적자본 개발 전략이 사회복지서비스의 발전방향에 주는 함의 482
요약 487
제16장 사회복지와 NGO 489
1. NGO에 대한 이해 490
2. NGO 분류기준과 체계 498
3. NGO의 생성과 성장에 대한 이론 504
4. 사회복지와 NGO 508
요약 517
참고문헌 519
찾아보기 543
저자약력 565